
1. 왜 Generalizability(일반화 가능성)이 중요한가?의료 AI 모델은 훈련된 병원 혹은 기관에서만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과적합(overfitting)" 문제에 자주 직면합니다.실제 환자군은 다음과 같이 다양합니다:병원/지역/국가 간 인구 구성 차이의료 장비 및 기록 시스템의 이질성질병의 표현형(phenotype) 및 치료 관행의 지역적 차이사회경제적 요인, 언어, 인종 차이이런 다양성을 무시한 모델은 "one-shot 성공"에 그칠 뿐, 실사용에서 실패할 위험이 큽니다.따라서 일반화 가능성(Generalizability)을 사전에 검증하고,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입니다.2. Generalizability 검증의 핵심 축다음 세 가지 방법론이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하고 강화하는..

빠른 실패 판별과 비용 절감을 위한 설계 전략1. 서론: 왜 적응형 설계인가?임상시험의 전통적 설계는 고정된 조건 하에서 시험을 수행합니다. 피험자 수, 복용량, 중단 기준 등이 사전에 정해져 있으며, 통계적 유의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구조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집니다:시험 실패까지의 시간 지연불필요한 비용 소모윤리적 문제 (효과 없는 치료를 지속 제공)이에 따라 최근에는 적응형 설계(Adaptive Design), 특히 베이지안 접근법을 통해 임상시험을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졌습니다.2. 베이지안 적응 설계의 개념과 특징베이지안 적응형 임상시험은 사전 확률(prior probability)을 설정하고, 중간 분석을 통해 관찰된 데이터를 반영..

1. 서론: EHR의 방대한 가능성과 숨겨진 과제전자건강기록(EHR, Electronic Health Records)은 현대 의료의 중심 인프라입니다. 하지만 진료 현장에서 생성되는 EHR 데이터의 상당수는 자유 텍스트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로 축적됩니다. 의사의 진료 소견, 간호 기록, 수술 경과 보고서, 병리 판독서, 퇴원 요약 등은 대부분 자연어로 서술되어 있어, 머신러닝과 통계 모델이 바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큽니다.따라서, 임상 연구자와 의료 AI 개발자에게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는 "비정형 텍스트의 구조화 및 정규화"입니다. 이 과정은 의료 언어 특유의 축약어, 오탈자, 임상 맥락이 포함된 문장 구조 등으로 인해 일반 텍스트 마이닝보다 훨씬 까다롭습니다.2. 비정형 의료 텍스트: 왜 어려운가..

1. 서론: 치료 반응성의 이질성과 정밀의료의 도전 과제정밀의료는 ‘환자 맞춤형 치료’를 구현하려는 시도로, 같은 질환을 가진 환자라 해도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치료 반응이 다르다는 점을 출발점으로 삼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대규모 벌크 RNA 시퀀싱(bulk RNA-seq)이나 유전체 분석만으로는 종양 내부 또는 면역계의 이질성을 충분히 설명하기 어렵습니다.여기에서 등장한 기술이 바로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scRNA-seq)입니다. 이 기술은 각각의 세포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발현 정보를 개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치료 반응성과 관련된 세포 아형(subpopulation)을 정밀하게 식별하고, 치료 타겟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2. 단일세포 RNA 시퀀싱(scRNA-seq)의 원리와 장점🔬 핵..

1. 서론: 유전체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약물 반응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의 핵심은 개별 환자의 생물학적 특성에 기반하여 최적의 치료제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오랜 기간 동안 이러한 예측은 대부분 유전체 정보(Genomics), 즉 DNA 염기서열 기반으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하지만 동일한 유전자 변이를 갖고 있더라도, 환자 간에 약물 반응성과 부작용의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자 최근 주목받고 있는 분야가 후생유전체학(Epigenomics)입니다. 특히 DNA 메틸화(DNA methylation)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후생유전적 기전으로, 약물 대사 효소, 수용체, 신호전달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결정하며 약효 및 독성과 밀접하게 관련됩니..

1. 서론: 희귀 질환과 약물 반응성의 개인차희귀 질환은 일반적으로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병하며, 단일 유전자 변이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유전적 변이가 약물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다양하고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동일한 약물을 사용하더라도 특정 변이를 가진 환자에서는 효과가 거의 없거나, 심지어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유전자 변이–약물 반응의 상관성 분석은 희귀 질환 치료제 개발과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있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2. 유전자 변이 기반 약물 반응 분석의 기초희귀 질환 환자의 유전체 정보가 풍부하게 확보되면서, 특정 유전자 변이가 다음과 같은 기전에 따라 약물 반응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약물 표적 단백질의 구조 변화..
- Total
- Today
- Yesterday
- 임상시험
- 대사체 분석
- 제약
- 팬데믹
- 대사체분석
- 정량분석
- 바이오마커
- 세포치료제
- Targeted Metabolomics
- 약물개발
- 희귀질환
- 디지털헬스케어
- 미래산업
- Multi-omics
- 항암제
- 정밀의료
- 머신러닝
- 치료제
- 공급망
- 나노기술
- Drug Repositioning
- 제약산업
- 유전체분석
- 헬스케어
- 합성생물학
- AI
- 약물분석
- 신약개발
- lc-ms/ms
- AD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