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제약회사 연구원의 블로그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제약회사 연구원의 블로그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75) N
    • 제약산업 (273) N
  • 방명록

lc-ms/ms (34)
Carry-over 최소화를 위한 Autosampler 세척 및 Matrix-dependent Blank 관리

–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 중 흔한 오염 문제 해결 전략 1. 서론: “Carry-over”는 왜 항상 Validation 단계에서 문제를 일으키는가LC-MS/MS 기반 생체시료 분석에서 가장 자주 듣는 문구 중 하나가 있다.“왜 blank 시료에서 피크가 계속 올라오지?”Method validation 단계에서 예상치 못한 carry-over 신호가 blank에서 관찰되면,그 원인을 찾느라 며칠, 혹은 몇 주를 허비하는 경우가 많다.특히 low LLOQ (0.1 ng/mL 이하) 수준의 고감도 분석법에서는극미량의 오염(cross-contamination)도 정량 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다.즉, carry-over 문제는 단순한 실험적 불편함이 아니라, 정확도(accura..

제약산업 2025. 11. 1. 20:10
바이오의약품(ADC, mAb) 대사체 분석 Workflow와 국내 제약사의 활용 전략

LC-MS/MS 기반 정밀 분석이 이끄는 차세대 바이오 신약 개발 패러다임1. 서론: 바이오의약품의 복잡성, 그리고 ‘분석’의 시대바이오의약품은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니다. 항체의약품(mAb), 항체약물접합체(ADC), 세포치료제, 단백질 기반 치료제 등이 신약 개발의 중심으로 떠오르면서, 이들의 ‘대사체 분석(metabolite analysis)’은 단순한 QC 절차를 넘어 약물의 생체 내 운명과 효능, 안전성을 결정짓는 핵심 연구 영역으로 부상했다.특히 항체약물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는 정밀 표적치료의 대표적인 기술로,항체의 표적 특이성과 세포독성 약물(payload)의 강력한 효능을 결합시킨 구조를 갖는다.그러나 이러한 하이브리드 구조는 개발자 입장에서 새로운..

제약산업 2025. 10. 28. 20:38
LC-MS/MS 기반 체외진단(IVD) 시약 개발과 규제 인증(CE-IVD, FDA 510(k))

1. 서론: 진단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와 LC-MS/MS의 부상최근 체외진단(in vitro diagnostics, IVD) 시장은 과거의 단순한 면역진단(immunoassay) 중심에서 벗어나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 시대에 걸맞은 분자 수준의 정량 진단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그 중심에는 LC-MS/MS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기술이 있다.이전까지 LC-MS/MS는 주로 신약개발이나 약물 모니터링(TDM) 등 연구 중심 영역에서 활용되었지만, 최근 5년간은 임상 진단용 분석 플랫폼으로의 확장세가 눈에 띄게 가속화되고 있다.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LC-MS/MS 기반 체외진단 시약이 CE-IVD 또는 FDA 510(k..

제약산업 2025. 10. 26. 20:50
Digital Twin 기반 약물 대사 시뮬레이션 – Multi-omics 적용 사례

서론: 디지털 트윈이 열어가는 약물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최근 제약·바이오 산업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흐름 속에서 가장 주목받는 개념 중 하나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다.원래 항공·자동차·반도체 산업에서 사용되던 이 기술은, 실제 물리 시스템의 복제체를 가상 공간에 구현하여 시뮬레이션과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식이다.이제 그 개념이 생명과학과 약물개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특히 인간의 생리학적 특성을 반영한 가상 인체 모델(digital twin human)을 구축해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ADME)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고,임상시험 전 단계에서 약물 반응성을 정밀하게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in vitro 및 ..

제약산업 2025. 10. 22. 20:33
임상 시험에서의 Multi-omics Stratification – Responder vs Non-responder 구분 사례

서론신약 개발의 성패는 임상시험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글로벌 통계에 따르면 전체 신약 후보물질 중 임상 1상에서 출발해 최종적으로 허가까지 도달하는 확률은 10% 미만이다. 특히 항암제의 경우 환자별 반응성의 이질성(heterogeneity)이 크기 때문에 responder와 non-responder 구분에 실패할 경우 임상시험 전체가 무산될 수 있다.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최근 가장 주목받는 것이 바로 multi-omics 기반 환자군 세분화(stratification) 이다. 즉, 유전체(genome), 전사체(transcriptome), 단백체(proteome), 대사체(metabolome) 데이터를 통합하여 환자의 분자적 특성을 다층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

카테고리 없음 2025. 10. 11. 20:07
Single-cell multi-omics (scRNA + scMetabolomics) 융합 분석 – 종양 이질성 해석

1. 서론: 왜 단일세포 수준의 이질성 연구가 중요한가?암은 단순한 세포 덩어리가 아니라, 수많은 이질적(heterogeneous) 세포 집단의 집합체다. 동일한 환자의 종양에서도어떤 세포는 항암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다른 세포는 동일한 약물에 저항성을 보이며,또 다른 세포는 암 줄기세포(stem-like cancer cell)로서 재발의 씨앗이 되기도 한다.전통적인 bulk RNA-seq이나 metabolomics는 평균값(average signal)만 보여주기 때문에, 개별 세포 수준의 차이를 포착하기 어렵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Single-cell multi-omics 접근법이다.그중에서도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scRNA-seq)과 단일세포 대사체 분석(scMetabo..

제약산업 2025. 10. 8. 20:45
초고감도 LC-MS/MS 기반 소아 환자 TDM 전략 – 저혈량 샘플에서의 분석 최적화

1. 서론: 소아 환자 TDM의 과제소아 환자군에서 약물 농도 모니터링(Therapeutic Drug Monitoring, TDM)은 치료 안전성 확보와 개별화된 용량 설계를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채혈량의 제약(10–50 μL 수준), 빠른 약동학적 변동성, 미성숙한 대사·배설 경로로 인해 분석적 난이도가 매우 높다.따라서 소아 환자 TDM에서는 초고감도의 LC-MS/MS 플랫폼과 저혈량 시료 처리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 글에서는 기술적 세부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전처리 → 분리 → 이온화 → 검출 → 검증 단계별 최적화 방법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2. 저혈량 시료 전처리 기술의 고도화2.1 Protein precipitation (PPT)소량 혈액(10–20 μL)에서 가장 간단한 전처리 방..

제약산업 2025. 10. 3. 20:19
Digital Twin 기반 약물 대사 시뮬레이션 – Multi-omics 데이터 적용 사례

1. 서론 – Digital Twin과 약물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신약 개발에서 가장 큰 난관 중 하나는 약물 대사와 반응성을 개인별로 예측하는 문제입니다. 전임상 동물실험과 초기 임상 데이터는 일정 수준의 안전성과 효능을 보장하지만, 실제 환자 집단에서는 유전적 변이, 대사체 프로파일, 환경적 요인, 동반 질환, 병용 약물 등 수많은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그 결과, 일부 환자에서는 예상치 못한 약물 독성(adverse drug reactions, ADRs)이 발생하거나, 반대로 충분한 치료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이러한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최근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주목하는 개념이 바로 Digital Twin입니다.Digital Twin은 환자의 유전체, 단백체, 대사체, 임..

제약산업 2025. 9. 29. 20:05
이전 1 2 3 4 5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약물분석
  • 제약
  • 약물 반응 예측
  • 팬데믹
  • 정량분석
  • 약물개발
  • 항암제
  • 면역항암제
  • 합성생물학
  • metabolomics
  • 세포치료제
  • 임상시험
  • 바이오마커
  • Targeted Metabolomics
  • 정밀의료
  • 바이오의약품
  • lc-ms/ms
  • Multi-omics
  • 신약개발
  • 제약산업
  • 디지털헬스케어
  • 공급망
  • 미래산업
  • 대사체분석
  • 대사체 분석
  • Drug Repositioning
  • AI
  • 머신러닝
  • 유전체분석
  • 치료제
more
«   2025/11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