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약산업
Single-cell multi-omics (scRNA + scMetabolomics) 융합 분석 – 종양 이질성 해석
pharma_info 2025. 10. 8. 20:45728x90
1. 서론: 왜 단일세포 수준의 이질성 연구가 중요한가?
암은 단순한 세포 덩어리가 아니라, 수많은 이질적(heterogeneous) 세포 집단의 집합체다. 동일한 환자의 종양에서도
- 어떤 세포는 항암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
- 다른 세포는 동일한 약물에 저항성을 보이며,
- 또 다른 세포는 암 줄기세포(stem-like cancer cell)로서 재발의 씨앗이 되기도 한다.
전통적인 bulk RNA-seq이나 metabolomics는 평균값(average signal)만 보여주기 때문에, 개별 세포 수준의 차이를 포착하기 어렵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Single-cell multi-omics 접근법이다.
그중에서도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scRNA-seq)과 단일세포 대사체 분석(scMetabolomics)을 융합하는 전략은 종양 내 이질성을 분자적·대사적 수준에서 동시에 해석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
2. Single-cell multi-omics의 개념과 기술적 배경
2.1 scRNA-seq: 세포별 유전자 발현 지도
- 개별 세포에서 mRNA 발현 프로파일을 도출
- 특정 세포 집단의 분화 상태, 면역 회피 전략, drug resistance 관련 유전자 확인 가능
- 대표 기술: Drop-seq, 10x Genomics Chromium, Smart-seq2
2.2 scMetabolomics: 단일세포 대사체 정량
- LC-MS/MS 또는 CE-MS 기반 분석으로 개별 세포 내 수십~수백 개 대사체 프로파일링
- 극소량 시료(페모몰 수준)를 다루어야 하므로 ultrasensitive LC-MS/MS 필수
- 세포 내 ATP/GTP 비율, NAD+/NADH 상태, lactate flux 등 대사 활성을 직접 반영
2.3 융합 분석의 필요성
- RNA만으로는 한계: mRNA 발현이 반드시 효소 활성을 반영하지는 않음
- Metabolome만으로는 불완전: 대사체 변화의 upstream 원인을 알기 어렵다
- 따라서 scRNA와 scMetabolomics를 결합하면, 유전자 발현 ↔ 대사 기능 ↔ 세포 운명 간의 다차원적 연결 고리를 규명할 수 있다.
3. 종양 이질성 해석에서의 적용
3.1 대사 기반 암세포 아형(Subpopulation) 구분
- 일부 세포는 glycolysis 의존적 (Warburg effect)
- 또 다른 세포는 oxidative phosphorylation (OXPHOS) 기반 에너지 대사
- scRNA + scMetabolomics를 함께 보면, 같은 glycolytic gene 발현세포라도 실제 lactate 축적 여부가 달라 세분화 가능
3.2 암 줄기세포(CSC)와 내성 세포 집단 규명
- scRNA: stemness marker (SOX2, NANOG, CD44 등)
- scMetabolomics: FAO(fatty acid oxidation) 증가, ROS 억제 대사 패턴
- CSC 집단은 종종 항암제 내성과 재발을 유발 → 조기 탐지 가능
3.3 종양 미세환경(TME) 세포–세포 상호작용 분석
- 종양 세포뿐 아니라 T cell, macrophage, CAF(cancer-associated fibroblast)도 함께 분석
- 예: scRNA로 IFN-γ 발현 T cell 집단 확인 + scMetabolomics에서 lactate 과잉 축적 확인 → lactate 축적이 T cell 기능 억제와 연결됨
4. 분석 워크플로우 설계
4.1 샘플 준비
- 종양 조직 → 효소 소화로 단일세포 분리
- 세포 표면 마커 기반 FACS sorting → 암세포 vs 면역세포 분리
4.2 동시 multi-omics 분석
- 병렬 접근 (Parallel profiling)
- 일부 세포는 scRNA-seq, 일부 세포는 scMetabolomics
- 이후 computational integration
- 동일 세포 분석 (Joint profiling)
- 동일 세포에서 RNA 추출 후 잔여 세포질을 대사체 분석
- 최근 microfluidic + nano-LC-MS/MS 기술로 점차 실현 가능
4.3 데이터 통합
- CC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 Multi-omics factor analysis (MOFA+)
- Deep learning 기반 embedding (Variational Autoencoder, Graph Neural Network)
5. 실제 연구 사례
5.1 해외
- Nature Cell Biology (2021): Glioblastoma 단일세포 multi-omics → glycolysis-high 세포군이 temozolomide 내성 관련
- Cell Metabolism (2022): Melanoma scRNA+scMetabolomics → OXPHOS 의존 집단이 anti-PD-1 치료에 불응
5.2 국내
- 서울대병원 연구팀: 폐암 환자 조직 기반 scRNA+metabolomics → EGFR-TKI 내성 환자에서 glutamine metabolism↑ 집단 규명
6. 항암제별 적용 가능성
6.1 화학요법
- Cisplatin 내성: scRNA에서 DNA repair gene↑, scMetabolomics에서 glutathione↑ → ROS 억제
6.2 표적치료제
- EGFR-TKI 내성: scRNA에서 EGFR bypass signaling↑, scMetabolomics에서 lipid raft 관련 phospholipid↑
6.3 면역항암제
- anti-PD-1 불응 환자: scRNA에서 T cell exhaustion marker↑, scMetabolomics에서 lactate↑, arginine↓ → T cell 대사 억제
7. 산업적·임상적 활용 전략
7.1 제약 산업
- 환자 세분화 (Patient stratification): 특정 대사체 signature 가진 집단만 신약 임상시험 포함
- 신규 타겟 발굴: Metabolic enzyme (GLS, SCD1 등) 저해제 개발
7.2 임상 진단
- Liquid biopsy 기반 single-cell exosome multi-omics → 비침습적 내성 모니터링 가능
7.3 AI 플랫폼 결합
- Deep learning 기반 multi-omics integration → 치료 반응성 예측 모델 구축
- 국내 빅테크 + 제약사 협력으로 정밀의료 전환 가능
8. 도전 과제와 한계
- scMetabolomics 기술적 제약: picogram 수준 대사체 검출 민감도 한계
- 동일 세포 분석 어려움: RNA 추출과 metabolite 보존의 상충
- 데이터 해석 난이도: 수천 개 유전자 + 수백 개 대사체 통합 분석 → 고차원 데이터 처리 필요
- 임상 적용 한계: 현재 연구는 주로 전임상·실험실 수준 → 대규모 환자 검증 필요
9. 미래 전망
- Spatial single-cell multi-omics: 조직 내 위치 정보를 반영한 scRNA+scMetabolomics → 종양 미세환경 내 대사 heterogeneity 시각화
- AI-driven digital twin: 환자별 multi-omics 데이터 기반 항암제 반응 가상 시뮬레이션
- Clinical translation: 단일세포 multi-omics 기반 진단 키트 개발 (IVD, companion diagnostics)
10. 결론
Single-cell multi-omics, 특히 scRNA + scMetabolomics 융합 분석은 종양 내 이질성을 해석하는 차세대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기존 bulk 분석으로는 파악할 수 없던 세포 아형 간 대사 차이를 밝힘으로써,
- 항암제 내성, 면역치료 불응, 종양 재발의 기전을 정밀하게 규명할 수 있다.
앞으로 AI·자동화 LC-MS/MS·임상 샘플링 기술이 결합된다면, 이 접근법은 정밀의료(precision oncology)의 핵심 엔진으로 발전할 것이다.
728x90
'제약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pidomics 기반 대사체 프로파일링 – 항암제 내성 관련 인지질 대사 변화 추적 (0) | 2025.10.07 |
---|---|
Host–Pathogen Metabolomics: 감염병 진단을 위한 대사체 기반 Biomarker 탐지 (0) | 2025.10.06 |
실시간 LC-MS/MS 모니터링 – 병상 옆(Point-of-Care) 대사체 분석 플랫폼 (0) | 2025.10.05 |
Stable Isotope Tracing을 활용한 종양 대사 경로 분석 (0) | 2025.10.04 |
초고감도 LC-MS/MS 기반 소아 환자 TDM 전략 – 저혈량 샘플에서의 분석 최적화 (0) | 2025.10.03 |
AI 기반 Adverse Drug Reaction(ADR) 조기 예측 모델 (0) | 2025.10.02 |
국내 제약사 관점에서의 빅테크 기업 metabolomics 플랫폼 활용 전략 (0) | 2025.10.01 |
빅테크 기업의 Metabolomics 데이터 분석 플랫폼 진출 전략 (0) | 2025.09.30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나노기술
- 임상시험
- 약물분석
- 세포치료제
- 합성생물학
- ADC
- 약물개발
- 약물 반응 예측
- 제약산업
- lc-ms/ms
- 머신러닝
- 정밀의료
- 치료제
- 희귀질환
- 제약
- 유전체분석
- 팬데믹
- 공급망
- AI
- metabolomics
- 미래산업
- 항암제
- Targeted Metabolomics
- 신약개발
- Drug Repositioning
- Multi-omics
- 대사체분석
- 디지털헬스케어
- 바이오마커
- 정량분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