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1. 서론: 감염병 진단 패러다임의 변화
감염병 진단은 전통적으로 병원체 직접 검출(배양, PCR, 항원검사) 또는 숙주 면역 반응 확인(항체검사, 염증마커)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각각 한계가 존재한다.
- 배양: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일부 병원체는 배양 불가능.
- PCR: 특정 병원체 타겟 필요, 변이 시 민감도 저하.
- 항원/항체 검사: 감염 초기 위음성 가능성, 민감도/특이도 제한.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사체학(metabolomics)이 새로운 감염병 진단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감염 과정에서 병원체와 숙주는 대사적 상호작용(host–pathogen interaction)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특이적 대사체 signature가 생성된다. 즉, 환자의 혈액·소변·호흡 공기 내 대사체 변화를 분석하면, 감염병을 빠르고 비침습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2. Host–Pathogen Metabolomics의 개념
2.1 정의
- Host metabolome: 감염에 반응하는 면역세포, 대사 경로 변화(예: tryptophan → kynurenine pathway 활성화).
- Pathogen metabolome: 병원체가 분비하거나 대사하는 특이 물질(예: mycobacterial lipid, bacterial quorum-sensing metabolite).
- Host–pathogen metabolome: 숙주와 병원체의 대사체가 상호작용하여 형성된 복합적 signature.
2.2 접근 방식
- Untargeted metabolomics
- LC-MS/MS, HRMS, NMR로 광범위 대사체 프로파일링
- 새로운 biomarker 탐색 단계에 유리
- Targeted metabolomics
- 특정 후보 대사체 정량
- 임상 진단법으로 translation 가능
3. 감염병 진단을 위한 대사체 Biomarker 사례
3.1 세균 감염
- 결핵(Mycobacterium tuberculosis)
- 혈청에서 mycolic acid 유도체 검출
- Tryptophan–kynurenine 비율 변화 → 면역 억제 기전 반영
- 패혈증(Sepsis)
- Lactate, succinate 증가 (anaerobic glycolysis 증가 반영)
- Acylcarnitine profile 변화
3.2 바이러스 감염
- COVID-19
- Plasma metabolomics: kynurenine/tryptophan ratio ↑, phospholipid profile 변화
- 병 severity prediction 가능
- Influenza
- Host lipid metabolism dysregulation → phosphatidylcholine 감소
- HIV
- Polyamine metabolism 증가, glutamine depletion
3.3 기생충 감염
- 말라리아
- Heme degradation product (hemozoin) → indirect detection
- Host plasma에서 lysophosphatidylcholine 감소
4. 분석 기술적 세부 전략
4.1 샘플 매트릭스 선택
- 혈액/혈장: 가장 표준화 용이, 전신 대사 반영
- 소변: 비침습적, pathogen-derived metabolite 농축 가능
- 호흡 공기(VOC):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폐감염 진단 적합
4.2 전처리 전략
- 단백질 제거 (protein precipitation, SPE)
- Lipidomics 전용 추출법 (Bligh-Dyer, MTBE extraction)
- Stable isotope internal standard (SIL-IS) 활용하여 matrix effect 최소화
4.3 분석 플랫폼
- LC-HRMS (Orbitrap, Q-TOF): untargeted metabolomics
- LC-MS/MS (MRM): targeted quantification
- NMR: 비파괴적, reproducibility 높음, 감도는 낮음
4.4 데이터 해석
- 다변량 통계학 (PCA, PLS-DA): 대사체 패턴 차별화
- Machine learning (Random forest, SVM, deep learning): biomarker signature 최적화
- Pathway analysis: host immune-metabolic reprogramming 반영
5. 임상 적용 전략
5.1 조기 진단
- 증상 발현 전 대사체 signature로 early infection detection 가능
5.2 감염병 구분
- 바이러스 vs 세균 감염 구별: 항생제 불필요한 경우 줄여 항생제 내성 억제 기여
- 예: 세균 감염 시 acylcarnitine profile 변화, 바이러스 감염 시 tryptophan 대사 변화
5.3 질병 중증도 평가
- COVID-19 severity prediction → ICU admission decision에 활용 가능
5.4 치료 모니터링
- 항생제/항바이러스제 치료 반응에 따른 대사체 변화 추적
- 예: vancomycin 치료 반응 환자에서 plasma metabolome 정상화 속도 차별화
6. 기술적 도전과 한계
6.1 표준화 문제
- 샘플 수집·보관·전처리 조건에 따른 대사체 변화
- 해결책: 국제 consortium 기반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OP) 마련
6.2 임상 translation
- 수백 개 후보 biomarker 중 임상적으로 robust한 소수만 선별 필요
- 대규모 multi-center validation 필수
6.3 데이터 복잡성
- 수천 개 대사체 peak → noise filtering, batch effect 교정 필요
- AI/ML 기반 해석 pipeline 개발 중요
6.4 병원체 특이성 한계
- 일부 대사체는 감염 특이성 부족 (염증성 질환에서도 변화)
- Host-only marker + pathogen-specific marker 조합 접근 필요
7. 국내외 연구 및 산업 동향
7.1 해외
- Johns Hopkins Univ.: Plasma metabolomics로 세균 vs 바이러스 패혈증 구분 연구
- Oxford Univ.: 말라리아 감염자에서 lipidomic biomarker 발굴
- NIH/NIAID: Host metabolome 기반 COVID-19 severity 예측 프로젝트
7.2 국내
- 서울대병원: 패혈증 환자 혈액 metabolomics → 조기 예후 예측 연구
- 국내 스타트업: Breath VOC metabolomics 기반 폐감염 조기 진단 키트 개발
8. 미래 전망
- POC(point-of-care) metabolomics
- 소형화 LC-MS/MS 또는 breathalyzer 기반 VOC sensor → 응급실/ICU에서 실시간 감염 진단 가능
- Multi-omics integration
- Metabolomics + transcriptomics + proteomics → 감염 진단 정확도 극대화
- AI-driven biomarker discovery
- Deep learning 기반 host–pathogen metabolic fingerprint 인식
- Global surveillance
- Pandemic 대응을 위해 대사체 signature 기반 감염병 outbreak monitoring
9. 결론
Host–pathogen metabolomics는 감염병 진단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 숙주와 병원체의 대사체 상호작용을 반영한 biomarker는 기존 PCR, 배양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 세균 vs 바이러스 구별, 조기 진단, 치료 반응 모니터링 등 임상적으로 높은 활용가치를 지닌다.
- 다만 표준화·임상 검증·데이터 해석 복잡성이라는 도전과제가 남아 있다.
향후 POC 플랫폼, multi-omics 통합, AI 기반 분석이 발전하면, host–pathogen metabolomics는 차세대 감염병 진단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것이다.
728x90
'제약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시간 LC-MS/MS 모니터링 – 병상 옆(Point-of-Care) 대사체 분석 플랫폼 (0) | 2025.10.05 |
---|---|
Stable Isotope Tracing을 활용한 종양 대사 경로 분석 (0) | 2025.10.04 |
초고감도 LC-MS/MS 기반 소아 환자 TDM 전략 – 저혈량 샘플에서의 분석 최적화 (0) | 2025.10.03 |
AI 기반 Adverse Drug Reaction(ADR) 조기 예측 모델 (0) | 2025.10.02 |
국내 제약사 관점에서의 빅테크 기업 metabolomics 플랫폼 활용 전략 (0) | 2025.10.01 |
빅테크 기업의 Metabolomics 데이터 분석 플랫폼 진출 전략 (0) | 2025.09.30 |
Digital Twin 기반 약물 대사 시뮬레이션 – Multi-omics 데이터 적용 사례 (0) | 2025.09.29 |
Wearable Biosensor + Metabolomics 연계 – 환자 맞춤형 실시간 약물 모니터링 (0) | 2025.09.28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항암제
- 약물개발
- 합성생물학
- 신약개발
- 머신러닝
- 디지털헬스케어
- 임상시험
- ADC
- 희귀질환
- 미래산업
- Targeted Metabolomics
- metabolomics
- 치료제
- 세포치료제
- 팬데믹
- 정량분석
- 정밀의료
- 대사체분석
- Drug Repositioning
- 유전체분석
- 약물분석
- AI
- 약물 반응 예측
- 공급망
- 바이오마커
- 제약산업
- Multi-omics
- 제약
- lc-ms/ms
- 나노기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