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서론
항생제는 감염병 치료에 있어 인류가 얻은 가장 강력한 무기 중 하나다. 하지만 항생제의 사용은 장내미생물(microbiome)의 균형을 무너뜨리고(dysbiosis), 이로 인해 전신 대사 및 약물 대사 과정이 근본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수많은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즉, 항생제는 단순히 병원균을 억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환자의 장내 대사 환경과 약물의 체내 운명(pharmacokinetics) 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항생제–장내미생물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은 감염병 치료뿐 아니라, 다양한 약물의 안전성과 효능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Dysbiosis의 개념과 항생제의 영향
- 정상 장내미생물 균형
- Firmicutes, Bacteroidetes, Actinobacteria, Proteobacteria가 대표적
- 소화, 비타민 합성, 면역 균형 유지, 약물 대사에 기여
- 항생제에 의한 Dysbiosis
- 미생물 다양성 감소
- 특정 내성균 또는 병원성 세균 과증식
- 장내 대사 경로(예: bile acid metabolism, SCFA 생성) 붕괴
- 대사적 결과
- 항생제 사용 후 단쇄지방산(SCFA) 농도 감소 → 면역세포 대사 저해
- bile acid pool의 불균형 → 약물 흡수 및 간 대사 변화
- tryptophan 대사체 감소 → 신경 및 면역 반응 교란
항생제와 약물 대사의 상호작용
1. 항생제에 의한 약물 흡수 변화
- 장내미생물이 생성하는 효소(예: β-glucuronidase)가 사라지면 약물의 재흡수가 줄어듦
- 예: Irinotecan → SN-38 glucuronide 대사 → β-glucuronidase 활성 저하 시 약효 및 독성 변화
2. 항생제와 간 대사 효소 연계
- Dysbiosis는 간의 CYP450 효소 발현에도 영향을 미침
- 예: Rifampicin 투여 시 장내미생물 구성 변화와 함께 CYP3A4 발현 증가 → 병용 약물 대사 속도 변화
3. 약물–대사체 상호작용
- 항생제는 장내에서 생성되는 bile acid, SCFA, tryptophan 대사체를 변화시킴
- 이러한 대사체는 약물의 용해도, 막 투과성, 약물 수송체 발현(P-gp, OATP 등)에 직접 영향
사례 연구
(1) Vancomycin과 대사체 변화
- Vancomycin 장기 투여 → Firmicutes 감소, Proteobacteria 증가
- SCFA 감소 및 담즙산 조성 변화 → 지질대사 교란
- 병용 약물(특히 지질대사 관련 약물)의 체내 동태 변동 보고
(2) Broad-spectrum 항생제와 면역항암제
- 항생제 사용 환자에서 anti-PD-1/PD-L1 치료 반응성 저하 관찰
- 장내 SCFA와 secondary bile acid가 감소하여 T cell 활성 저하
- 항생제–미생물–대사 네트워크가 항암제 반응성에 결정적 역할을 함을 시사
(3) Ciprofloxacin과 신경계 대사체
- Ciprofloxacin 사용 후 tryptophan 대사산물(serotonin, kynurenine) 불균형 발생
- 일부 환자에서 불면, 불안, 인지 기능 저하 보고 → gut–brain axis 기반 부작용 사례
분석 방법론
- Metagenomics + LC-MS/MS
- 장내미생물 유전자 구성(NGS)과 대사체 프로파일(LC-MS/MS)을 동시 분석
- Stable isotope tracing
- ^13C-glucose, ^15N-tryptophan 등을 이용해 대사 경로 추적
- 항생제 전후 대사 흐름(flux) 비교
- Germ-free mouse 모델
- 무균 마우스에 특정 항생제를 처리하고, 이후 특정 약물 PK/PD 변화를 평가
- In vitro gut-on-a-chip 시스템
- 인간 장내 상피세포와 미생물을 공배양하여 항생제–대사체–약물 상호작용 분석
국내외 연구 및 제약 산업 동향
- 해외
- Harvard, Stanford: gut microbiome–drug interaction 연구를 통해 항생제 사용 가이드라인 개선 추진
- 유럽 제약사: 항생제 병용 시 PK 변화 예측 모델에 microbiome 데이터 반영
- 국내
- 한미약품: microbiome 기반 신약개발 연구소 설립, 항생제 내성 및 대사체 연계 연구 강화
- GC녹십자: 항생제 장기 사용 후 발생하는 dysbiosis 관련 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임상적 의의
- 항생제 병용 약물 투여 시 부작용 감소
- 대사체 기반 모니터링으로 약물 노출 농도 조정 가능
- 정밀 의료 기반 약물 최적화
- 환자별 장내미생물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항생제-약물 조합 설계
- 동반진단 개발
- 특정 미생물 혹은 대사체를 바이오마커로 활용하여 항생제 투여 가이드라인 제시
향후 전망
- AI 기반 microbiome–metabolome 네트워크 모델
- 항생제에 따른 대사체 변화를 예측하고, 약물 반응성을 시뮬레이션
- Microbiome restoration therapy
- FMT(Fecal Microbiota Transplant), probiotics, postbiotics 등을 통한 dysbiosis 회복
- 항생제 병용 약물의 안전성 보장
- 환자 맞춤형 antibiotic stewardship
- multi-omics 데이터 기반으로 최적 항생제 선택과 투여 기간 결정
결론
항생제는 단순히 병원균만을 억제하는 약물이 아니라, 환자의 장내 대사 환경 전체를 흔드는 주요 변수이다. Dysbiosis는 SCFA, bile acid, tryptophan 대사체 등 다양한 생체 분자 경로를 변형시키며, 이는 다시 약물 흡수, 대사, 배설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항생제–장내미생물 상호작용 분석은 감염병 치료뿐 아니라, 항암제·면역치료제·신경계 약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환자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연구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 제약사와 병원 또한 이러한 multi-omics 기반 분석을 선도적으로 적용한다면,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에서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728x90
'제약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lti-omics 기반 Rare Disease Biomarker Discovery 전략 (0) | 2025.10.12 |
---|---|
Transcriptome–Metabolome 연계 네트워크를 통한 약물 반응 예측 (0) | 2025.10.10 |
Proteogenomics + Metabolomics 융합 분석으로 발굴하는 신규 항암제 타깃 (0) | 2025.10.09 |
Single-cell multi-omics (scRNA + scMetabolomics) 융합 분석 – 종양 이질성 해석 (0) | 2025.10.08 |
Lipidomics 기반 대사체 프로파일링 – 항암제 내성 관련 인지질 대사 변화 추적 (0) | 2025.10.07 |
Host–Pathogen Metabolomics: 감염병 진단을 위한 대사체 기반 Biomarker 탐지 (0) | 2025.10.06 |
실시간 LC-MS/MS 모니터링 – 병상 옆(Point-of-Care) 대사체 분석 플랫폼 (0) | 2025.10.05 |
Stable Isotope Tracing을 활용한 종양 대사 경로 분석 (0) | 2025.10.04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머신러닝
- 나노기술
- metabolomics
- 대사체분석
- lc-ms/ms
- 임상시험
- 미래산업
- AI
- 약물분석
- 합성생물학
- 치료제
- Targeted Metabolomics
- 제약산업
- 공급망
- 팬데믹
- 세포치료제
- 약물개발
- ADC
- 디지털헬스케어
- 희귀질환
- 항암제
- 정량분석
- 바이오마커
- 신약개발
- 약물 반응 예측
- Multi-omics
- 정밀의료
- 유전체분석
- 제약
- Drug Reposition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