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T cell Metabolism Profiling (Glycolysis vs OXPHOS) – ICI 반응성과 연계
pharma_info 2025. 9. 20. 20:021. 서론: 대사와 면역 반응의 교차점
면역세포, 특히 T 세포는 항암 면역 반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합니다.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TME) 내에서 T 세포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증식하고,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며, 종양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지는 세포 내 대사 경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최근 들어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s, ICIs; anti-PD-1, anti-PD-L1, anti-CTLA-4 등)의 임상 성공 사례가 늘어나면서, 왜 일부 환자에서는 반응을 보이지 않는가라는 질문이 중요해졌습니다. 그 답 중 하나가 바로 T cell metabolism profiling 입니다.
즉, T 세포가 glycolysis (해당과정)를 주로 활용하는지, OXPHOS (산화적 인산화)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면역 반응의 강도와 지속성이 결정되며, 이는 곧 ICI 반응성의 핵심 생체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2. T 세포 활성화와 대사 경로 전환
2-1. 나이브 T 세포 상태
- 에너지 요구량이 낮음 → OXPHOS, FAO (지방산 산화)에 의존
- 낮은 대사 활성으로 유지, 장기 생존에 최적화
2-2. Effector T 세포 활성화
- 항원 자극 → TCR signaling → mTOR, HIF-1α 경로 활성화
- OXPHOS → glycolysis로 급격한 전환 (Warburg-like metabolism)
- 빠른 ATP 공급과 생체분자 합성(핵산, 아미노산, 지질)이 필요하기 때문
2-3. Memory T 세포
- 장기적 생존과 재활성화를 위해 다시 OXPHOS/FAO 기반 대사로 회귀
- 미토콘드리아 대사 유연성이 핵심
2-4. Regulatory T 세포 (Tregs)
- 주로 OXPHOS와 FAO 활용
- 안정적인 면역 억제 기능 유지
3. Tumor Microenvironment (TME)와 대사 경쟁
종양은 높은 포도당 소비율과 젖산 축적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는 T 세포 대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 Glucose depletion: Effector T cell glycolysis 억제 → 기능 저하
- Lactate accumulation: T cell 기능 억제, Treg 세포 활성 강화
- Hypoxia: HIF-1α 과발현 → glycolysis 유도, 그러나 장기적 기능 저하
결과적으로 TME는 T cell metabolic exhaustion을 유발하고, 이는 ICI 반응성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4. Glycolysis vs OXPHOS 프로파일링
4-1. Glycolysis 중심 T cell
- 특징: 빠른 에너지 공급, 세포 증식/사이토카인 분비 유리
- 한계: 장기 생존력 낮음, TME에서 포도당 경쟁에 취약
- ICI 반응성: 초기 반응은 강할 수 있으나 지속적 항암 면역 반응은 제한적
4-2. OXPHOS 중심 T cell
- 특징: 미토콘드리아 기반 에너지 생산, ROS 신호 조절, 장기적 기억 T 세포 형성 유리
- 한계: 빠른 증식에는 불리
- ICI 반응성: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항암 효과 유지 가능
4-3. Hybrid metabolism (metabolic plasticity)
- 가장 이상적: 필요 시 glycolysis, 장기 유지 시 OXPHOS로 유연하게 전환
- ICI 고반응자군에서 자주 발견되는 특징
5. LC-MS/MS 기반 T cell 대사 프로파일링
5-1. 분석 시료
- Peripheral blood T cells (환자 PBMC)
- 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TILs)
- CAR-T 세포 ex vivo 배양물
5-2. 분석 workflow
- 세포 분리 및 대사체 추출 – methanol/chloroform quenching
- LC 조건 – HILIC column (glycolytic intermediates), RP-LC (TCA cycle intermediates, FAO 관련 대사체)
- MS/MS 분석 – targeted MRM 방식으로 glycolysis vs OXPHOS 대사체 정량
- 데이터 분석 – metabolic flux 분석, pathway enrichment, ICI 반응군 vs 비반응군 비교
5-3. 대표 바이오마커 후보
- Glycolysis: lactate, pyruvate, phosphoenolpyruvate (PEP)
- OXPHOS: citrate, malate, fumarate, NAD+/NADH 비율
- FAO: acyl-carnitines
- Amino acid metabolism: glutamine, serine, tryptophan
6. ICI 반응성과 T cell 대사
6-1. Anti-PD-1/PD-L1 치료 반응성
- 반응자군: OXPHOS 활성 높음, 미토콘드리아 mass 증가
- 비반응자군: glycolysis 의존 ↑, lactate 축적 ↑
6-2. Anti-CTLA-4 치료와 대사
- CTLA-4 억제 → naive T cell priming 촉진
- glycolysis flux 일시적 증가, 이후 OXPHOS 기반 memory T cell 유지
6-3. 임상 사례
- 흑색종(melanoma) 환자군 연구: PD-1 억제제 반응군에서 미토콘드리아 대사 활성↑
- NSCLC 환자군 연구: 반응군에서 glycolysis/OXPHOS 균형적 활용(대사 유연성 확보)
7. 항암제 사례별 T cell 대사 반응
7-1. Anti-PD-1 (Nivolumab, Pembrolizumab)
- 반응군: OXPHOS + glycolysis 균형 유지
- 비반응군: glycolysis 단일 경로 의존
7-2. Anti-CTLA-4 (Ipilimumab)
- Priming 단계에서 glycolysis 강화
- 장기 효과는 OXPHOS 기반 memory 형성 여부에 달림
7-3. Combination therapy (anti-PD-1 + anti-CTLA-4)
- 대사적 시너지 관찰
- 미토콘드리아 biogenesis↑, ROS signaling 조절
7-4. 기타 항암제 병용
- Metformin (OXPHOS 억제제) → TME 내 종양세포 glycolysis 억제, T cell OXPHOS 유지에 기여
- PI3K 억제제 → Treg 대사 억제, effector T cell 기능 강화
8. Metabolic Reprogramming 전략
8-1. 약물 기반 조절
- OXPHOS 촉진제: PGC-1α agonist, bezafibrate
- Lactate transporter 억제제: MCT1 inhibitors
- Glutamine 대사 억제제: 종양 의존성 차단, T cell 기능 선택적 강화
8-2. 영양학적 조절
- 케톤 식이, 단식 모방 식이 → T cell OXPHOS 활성 강화
- 고섬유질 식이 → SCFA 생성 증가, T cell memory 유지 기여
8-3. 세포치료 적용
- CAR-T 세포 ex vivo 배양 시 OXPHOS 기반 환경 제공 → 체내 장기 지속성 강화
9. 미래 전망: Precision Immunometabolism
T cell metabolism profiling은 단순한 기초 연구를 넘어, 실제 임상에서 환자 맞춤형 ICI 치료 반응 예측과 치료 설계 최적화에 직접 활용될 수 있습니다.
- LC-MS/MS 기반 대사체 바이오마커 패널 개발 → 치료 반응성 조기 예측
- Multi-omics integration (metabolomics + transcriptomics + epigenomics) → T cell 상태 총체적 평가
- AI-driven 데이터 분석 → 환자군별 대사체-면역 반응 예측 모델 구축
10. 결론
T 세포의 대사 경로는 면역 반응의 핵심 엔진이자, 항암 면역치료 반응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입니다. glycolysis와 OXPHOS의 균형, 즉 대사적 유연성(metabolic flexibility)은 ICI 고반응자군에서 관찰되는 대표적 특징이며, 향후 면역대사 연구의 주요 타겟이 될 것입니다.
LC-MS/MS 기반의 정밀한 T cell metabolism profiling은 환자 맞춤형 ICI 치료의 길을 열고 있으며, 나아가 metabolic reprogramming 기반 차세대 면역치료 전략 개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제약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C-MS/MS 기반 cytokine–metabolite 상관분석: 실무 가이드와 사례 중심 해설 (0) | 2025.09.21 |
---|---|
항생제 장기 사용에 따른 Microbiome–Metabolome 변화 분석 (0) | 2025.09.19 |
Microbiome-derived metabolite profiling – 항암제 반응성과 장내 대사체 상관성 (0) | 2025.09.18 |
Short-chain fatty acids (SCFAs)와 면역세포 대사 조절 (0) | 2025.09.17 |
장-뇌 축(gut-brain axis) 대사체 네트워크 분석 – 신경질환 biomarker 탐색 (0) | 2025.09.16 |
Microbiome–metabolite 기반 약물 상호작용 분석 (0) | 2025.09.15 |
AI-driven Multi-omics Data Integration – 임상 예측 모델 구축 전략 (1) | 2025.09.14 |
Immune-metabolomics + TCR-seq 연계 분석: 항암 면역치료 반응성 예측의 차세대 전략 (0) | 2025.09.13 |
- Total
- Today
- Yesterday
- 바이오마커
- 약물개발
- 대사체 분석
- 미래산업
- Drug Repositioning
- 제약
- 정량분석
- Multi-omics
- lc-ms/ms
- 머신러닝
- 희귀질환
- 임상시험
- 세포치료제
- 정밀의료
- ADC
- 공급망
- 신약개발
- Targeted Metabolomics
- 나노기술
- 대사체분석
- AI
- 약물분석
- 디지털헬스케어
- 합성생물학
- 유전체분석
- 치료제
- 제약산업
- 팬데믹
- 항암제
- 헬스케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