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Nano-flow LC와 Ion Funnel 기술의 융합적 접근
1. 서론: 왜 초저농도 생체시료 분석이 중요한가
현대 약물 분석에서 가장 도전적인 과제 중 하나는 초저농도(low-abundance) 생체시료에 포함된 물질을 정확하게 검출하고 정량하는 일입니다. 특히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혹은 신경전달물질과 같은 내인성 대사체(endogenous metabolites) 연구에서는 피코몰(pmol)~펨토몰(fmol) 단위의 극미량을 다루어야 합니다. 이 수준의 분석은 전통적인 LC-MS/MS 시스템으로는 잡음(noise)과 매트릭스 효과(matrix effect)에 묻히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혈액이나 뇌척수액(CSF)에서 특정 대사체를 정량해야 하는 경우, 환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샘플량은 극히 제한적이며, 농도 또한 낮아 detection limit을 충족시키기 어렵습니다. 특히 신약 개발 단계에서 first-in-human(FIH) 임상이나 micro-dosing study에서는 혈액 50 μL 이하의 초소량 샘플로 약물의 PK 프로파일을 파악해야 하므로, 기존 LC-MS/MS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적 진보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최근 주목받는 두 가지 기술이 바로 Nano-flow LC와 Ion Funnel입니다. Nano-LC는 초저유량(수백 nL/min 이하) 조건에서 separation 효율과 감도를 높여주며, Ion Funnel은 이온 전송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MS 감도를 개선합니다. 두 기술을 조합하면 초저농도 생체시료 분석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2. 초저농도 생체시료 분석의 도전 과제
2.1 매트릭스 효과(Matrix Effect)
혈장, 소변, CSF, 조직 추출물 등 대부분의 생체시료는 복잡한 조성물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LC-MS/MS 분석 과정에서 이온 억제(ion suppression) 또는 이온 향상(ion enhancement) 현상이 발생하여 정량 정확도를 저해합니다. 농도가 낮을수록 이 현상은 더 치명적입니다.
2.2 샘플량 제한(Sample Limitation)
희귀질환 소아 환자, 동물 독성 시험(특히 monkey나 rat의 serial sampling), 또는 뇌척수액 분석과 같이 시료 채취 자체가 어렵거나 제한적인 경우, 10 μL 단위의 혈액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분석이 필요합니다.
2.3 신호 대 잡음비(S/N ratio) 저하
극저농도 분석에서는 분석기기의 기본 감도(sensitivity)뿐 아니라 background noise 관리가 핵심입니다. noise가 조금만 커져도 LOD/LOQ가 급격히 악화됩니다.
2.4 장비 의존성
초저농도 분석은 LC-MS/MS 장비의 성능에 크게 의존합니다. 최신 Triple Quad나 Orbitrap도 기초 감도는 뛰어나지만, 실제 임상 샘플에서는 전처리 및 LC 조건 최적화 없이는 한계를 드러냅니다.
3. Nano-flow LC: 초저유량 크로마토그래피의 가능성
3.1 원리
Nano-flow LC는 nL/min 단위의 유량으로 이동상을 공급하여, 분리된 분석물이 MS 소스에 매우 작은 용적과 높은 농도로 공급되도록 합니다. 유량이 낮을수록 electrospray ionization(ESI)의 이온화 효율이 크게 향상됩니다.
- Concentration effect: 같은 양의 분석물이 더 작은 용적에 용해되어 주입 → signal intensity 증가
- Droplet size 감소: 작은 액적에서 전하 분리 효율이 높아짐 → 이온화 효율 개선
- 샘플 소모량 최소화: 혈액 1~5 μL 수준으로도 분석 가능
3.2 장점
- 극미량 시료에 적합 (micro-sampling, DBS, VAMS 등과 잘 결합됨)
- proteomics/metabolomics에서 흔히 쓰이며, targeted quantification에도 확장 가능
- background noise 감소로 S/N ratio 향상
3.3 한계
- nano-LC column의 clogging 문제
- gradient 재현성 문제
- 고도의 기술 숙련 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귀질환 치료제 PK 연구나 신경질환 바이오마커 검증에서는 Nano-LC가 사실상 유일한 해법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4. Ion Funnel 기술: MS 감도 극대화
4.1 개념
Ion Funnel은 electrospray에서 생성된 이온을 고효율로 집속(focusing)하여, mass analyzer로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전통적인 skimmer 기반 이온 전송 방식보다 훨씬 높은 전송 효율을 자랑합니다.
4.2 작동 방식
- 연속적으로 배열된 다공성 전극을 RF/DC 전압으로 구동
- 기체 분자와 충돌을 최소화하며 이온을 중심부로 집속
- 수십 배의 이온 전송 효율 향상
4.3 장점
- femtomole 수준 분석 가능
- high-throughput sample에서도 sensitivity 보장
- 특히 극미량 분석 시 noise보다 신호 증가폭이 더 크므로 S/N ratio 개선 효과 극대화
현재 Thermo, Agilent, Bruker 등 주요 MS 제조사들이 Ion Funnel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ion mobility spectrometry(IMS)와 결합하여 분석 분리 능력까지 확장하는 추세입니다.
5. Nano-LC와 Ion Funnel의 시너지
Nano-flow LC가 제공하는 고효율 분리 및 이온화 효율과 Ion Funnel이 제공하는 이온 전송 효율은 상호 보완적입니다. 실제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 conventional LC-MS/MS 대비 10~50배 감도 향상
- 5 μL 이하 혈장 시료에서 펩타이드 계열 약물 정량 가능
- 신경전달물질(예: dopamine, serotonin)의 femtomole 수준 정량
특히 희귀질환 임상시험이나 소아환자 PK 연구에서 큰 잠재력을 보입니다.
6. 초저농도 분석 응용 사례
6.1 희귀질환 치료제 모니터링
예: Pompe disease 환자에서 사용되는 enzyme replacement therapy(ERT) 약물의 혈중 농도 추적. 환자의 혈액량이 제한적이므로, 10 μL 정도의 DBS 샘플에서 Nano-LC + Ion Funnel 기반 LC-MS/MS로 정량 성공 사례 보고.
6.2 신경질환 연구
알츠하이머 환자의 CSF에서 neurotransmitter 대사체와 tau 관련 peptide fragment를 femtomole 단위로 분석하여, 질병 stage별 차이를 규명.
6.3 Oncology biomarker
항암제 반응성 연구에서 종양 조직 biopsy를 snap-freezing 후 nano-LC-MS/MS로 분석. tumor spheroid 모델에서도 metabolite flux 분석에 응용.
7. 초저농도 분석에서 추가 고려사항
7.1 전처리 (Sample Preparation)
- Micro-extraction (SPE, LLE): 소량 시료에서 matrix 제거
- Protein precipitation (PPT) 최소화 → sample loss 줄이기
- Surfactant 제거: nano-LC column 보호
7.2 Internal Standard 설계
- Stable isotope-labeled IS(SIL-IS) 사용 필수
- matrix effect 보정 및 recovery 보장
7.3 데이터 처리
- 낮은 peak intensity에서 noise filtering 중요
- signal integration 알고리즘 최적화 필요
8. 향후 전망
Nano-LC와 Ion Funnel 기반 초고감도 분석법은 앞으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확산될 전망입니다.
- 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 신생아, 소아, 희귀질환 환자 대상
- Liquid biopsy biomarker: cfDNA, exosome과 함께 초저농도 대사체 분석
- AI 기반 peak detection: noise 제거 및 신뢰성 향상
- 자동화된 micro-sampling 플랫폼과 결합하여 point-of-care 가능성
특히 제약사들은 이러한 기술을 활용해 first-in-human microdose trial이나 개인 맞춤형 약물 반응 예측으로 빠르게 확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9. 결론
초저농도 생체시료의 LC-MS/MS 분석은 신약 개발과 정밀의학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Nano-flow LC는 이온화 효율 극대화, Ion Funnel은 이온 전송 효율 극대화라는 서로 다른 지점을 보완함으로써, femtomole 수준까지 안정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희귀질환, 소아환자 연구, 신경질환 바이오마커 발굴, 항암제 반응성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러한 기술은 단순한 감도 향상을 넘어, 환자 맞춤형 치료, 실시간 TDM, multi-omics 기반 예측 모델링과 연결되며, 제약·임상 연구 패러다임을 바꿀 핵심 도구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제약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ologics + LC-MS/MS – 항체약물접합체(ADC) 대사체 분석 Workflow (0) | 2025.09.04 |
---|---|
Stability-indicating Method 개발 – ICH Q1A 기반 분해산물 분석 및 Unknown Impurity 규명 (0) | 2025.09.03 |
실시간 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 플랫폼 – LC-MS/MS와 자동화 시료 전처리의 융합 (0) | 2025.09.02 |
Combination Therapy 분석법 개발 – 항암제 병용요법에서 Multi-analyte Quantification 설계 (0) | 2025.09.01 |
Immune-metabolomics: 면역세포 대사 리프로그래밍과 항암 면역치료 반응성 (0) | 2025.08.30 |
Pharmaco-genomics + Metabolomics 기반 부작용 예측 플랫폼 (1) | 2025.08.29 |
Multi-omics 기반 Drug Repositioning 전략 (0) | 2025.08.28 |
Neuro-metabolomics 기반 신경질환 바이오마커 발굴 전략 (1) | 2025.08.27 |
- Total
- Today
- Yesterday
- 미래산업
- 정량분석
- 항암제
- 나노기술
- 정밀의료
- 디지털헬스케어
- Targeted Metabolomics
- 치료제
- 세포치료제
- 합성생물학
- 신약개발
- 약물분석
- AI
- 제약산업
- ADC
- 머신러닝
- 약물개발
- 희귀질환
- 임상시험
- 대사체 분석
- 유전체분석
- Multi-omics
- lc-ms/ms
- 제약
- 공급망
- 헬스케어
- Drug Repositioning
- 대사체분석
- 바이오마커
- 팬데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