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T cell metabolism profiling과 LC-MS/MS 기반 cytokine–metabolite 상관 분석
1. 서론: 면역대사(Immune-metabolism)의 부상
암 면역치료는 최근 10년간 항암제 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꾼 핵심 전략이다. 특히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s, ICIs), CAR-T cell therapy, cytokine 기반 면역치료 등이 다양한 고형암 및 혈액암에서 임상적 성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환자별 반응 차이가 크며, 일부 환자는 치료 저항성(resistance) 을 보이거나 심각한 면역 관련 부작용(irAEs) 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바로 면역세포 대사 리프로그래밍(metabolic reprogramming) 이다.
면역대사학(immune-metabolomics)은 대사체학(metabolomics) 기술을 면역학에 접목하여, 면역세포의 대사 변화가 어떻게 항암 면역 반응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새로운 연구 분야이다.
2. 면역세포 대사 리프로그래밍: 개념과 중요성
면역세포는 활성화 상태에 따라 대사 경로를 유연하게 전환한다. 이러한 대사 리프로그래밍은 세포의 기능적 운명을 결정짓는다.
(1) T 세포 대사와 기능의 연결
- Effector T cell (Teff)
- 활성화 시 해당작용(glycolysis) 의존도 증가
- 빠른 ATP 생산 및 biosynthesis 공급 → 사이토카인 분비와 증식 촉진
- Memory T cell (Tmem)
- 산화적 대사(oxidative metabolism, OXPHOS, fatty acid oxidation) 기반
- 장기 생존과 self-renewal에 유리
- Treg (Regulatory T cell)
- Fatty acid oxidation, OXPHOS 선호
- 종양 미세환경(TME)에서 면역 억제 기능 강화
(2) 종양 미세환경(TME) 내 대사 경쟁
- 종양세포: Warburg effect (aerobic glycolysis) 로 글루코스 대량 소비
- T 세포: 에너지원 부족, lactate 축적 → 기능적 소진(exhaustion)
- 따라서 T cell metabolism 조절 전략은 항암 면역치료 반응성을 높이는 핵심 열쇠로 주목된다.
3. T cell metabolism profiling (glycolysis vs oxidative metabolism)
T 세포의 대사 상태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면역치료 반응성을 예측하고, 치료 전략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하다.
(1) 분석 기법
- Extracellular flux analysis (Seahorse XF)
- Glycolysis rate (ECAR) vs OXPHOS (OCR) 측정
- Stable isotope tracing + LC-MS/MS
- ^13C-glucose, ^13C-glutamine labeling → carbon flux 분석
- Flow cytometry 기반 대사 marker 분석
- GLUT1, CPT1a,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등
(2) 임상 적용 가능성
- Responder vs Non-responder 구분
- ICI 치료 반응군: glycolysis 활성화와 동시에 mitochondrial spare capacity 유지
- 비반응군: 과도한 glycolysis 의존 → T cell exhaustion
- 바이오마커 후보
- Lactate/pyruvate ratio
- Acylcarnitine profile
- NAD⁺/NADH balance
4. LC-MS/MS 기반 cytokine–metabolite 상관 분석
면역 반응은 단순히 세포 대사 변화에 국한되지 않고, cytokine network와 대사체 프로필 간 상호작용으로 조절된다.
(1) 분석 전략
- Cytokine profiling (Luminex, ELISA, flow cytometry)
- IFN-γ, IL-2, TNF-α 등 effector cytokine
- IL-10, TGF-β 등 immunosuppressive cytokine
- Parallel metabolomics profiling (LC-MS/MS)
- Glucose, lactate, TCA cycle intermediates
- Amino acids (arginine, tryptophan, glutamine)
- Lipid mediators (prostaglandins, sphingolipids)
- Correlation analysis
- Cytokine level ↔ 대사체 concentration 간 상관계수 계산
- Network 분석으로 immune-metabolic signatures 규명
(2) 주요 발견 사례
- Tryptophan–Kynurenine axis
- IDO1/2 활성화 → kynurenine 축적
- T cell 기능 억제, IL-10 분비 증가
- Arginine availability
- Arginine 고갈 → T cell proliferation 억제
- IFN-γ 분비 감소와 직결
- Lactate accumulation
- 종양 유래 lactate ↑ → Treg 세포 활성화, effector T cell 기능 억제
5. Immune-metabolomics 기반 항암 치료 응용
(1) 치료 반응성 예측
- 치료 전 환자 혈액·종양 조직에서 metabolite–cytokine signature를 규명 → 반응군/비반응군 사전 선별
- 예: 고(高) mitochondrial fitness T cell signature → ICI 반응률 ↑
(2) 대사 타깃 병용 치료
- Anti-PD-1 + metabolic modulator
- Metformin: T cell mitochondrial respiration 강화
- 2-DG (glycolysis inhibitor): 종양세포의 glucose 소비 억제
- Arginase inhibitor
- Arginine availability 복원 → effector T cell 기능 회복
(3) 면역독성 관리
- Cytokine storm 위험군 예측: lactate, glutamine depletion profile
- irAE (immune-related adverse event) 조기 탐지 biomarker 개발
6. 국내외 연구 동향
- 국내
- 한미약품·서울대: ICI 반응성 예측을 위한 cytokine–metabolomics signature 탐색 연구 진행
- KAIST: LC-MS/MS 기반 T cell metabolic flux 분석 플랫폼 구축
- 국외
- MD Anderson Cancer Center: ICI 반응군에서 T cell glycolysis–OXPHOS balance가 치료 성적을 결정함을 보고
- Broad Institute: multi-omics 기반 immune-metabolic atlas 구축 중
7. 결론
Immune-metabolomics는 면역세포의 대사 리프로그래밍이 항암 면역치료의 반응성과 직결된다는 점을 정량적으로 규명하는 강력한 도구다.
특히 T cell metabolism profiling과 cytokine–metabolite 상관 분석은,
- 환자 맞춤형 면역치료 전략 수립
- 비반응군 환자 선별
- 대사 타깃 병용 요법 설계
- 면역 독성 조기 탐지
에 있어 필수적인 접근법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향후에는 LC-MS/MS 기반 immune-metabolomics 데이터와 single-cell multi-omics를 통합한 정밀한 예측 플랫폼이 임상 현장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약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bility-indicating Method 개발 – ICH Q1A 기반 분해산물 분석 및 Unknown Impurity 규명 (0) | 2025.09.03 |
---|---|
실시간 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 플랫폼 – LC-MS/MS와 자동화 시료 전처리의 융합 (0) | 2025.09.02 |
Combination Therapy 분석법 개발 – 항암제 병용요법에서 Multi-analyte Quantification 설계 (0) | 2025.09.01 |
초저농도 생체시료에서의 LC-MS/MS 감도 향상 전략 (1) | 2025.08.31 |
Pharmaco-genomics + Metabolomics 기반 부작용 예측 플랫폼 (1) | 2025.08.29 |
Multi-omics 기반 Drug Repositioning 전략 (0) | 2025.08.28 |
Neuro-metabolomics 기반 신경질환 바이오마커 발굴 전략 (1) | 2025.08.27 |
Spatial Metabolomics & LC-MS/MS Imaging을 활용한 종양 미세환경 분석 (0) | 2025.08.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대사체 분석
- 헬스케어
- 약물분석
- 제약
- 임상시험
- 디지털헬스케어
- 약물개발
- lc-ms/ms
- Multi-omics
- 대사체분석
- ADC
- 정량분석
- 공급망
- 미래산업
- 유전체분석
- 신약개발
- 합성생물학
- AI
- 팬데믹
- 희귀질환
- 머신러닝
- Targeted Metabolomics
- 세포치료제
- 제약산업
- 치료제
- Drug Repositioning
- 정밀의료
- 나노기술
- 바이오마커
- 항암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