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1. 서론 – 희귀 질환 TDM에서의 난제

희귀 질환(rare disease) 치료제는 대부분 orphan drug로 분류되며, 승인 과정부터 생산·공급까지 매우 제한적입니다. 치료 대상 환자 수가 적다 보니 임상시험 규모가 작고, 약물 투여량 또한 제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소아 및 신생아 환자에서는 체중 대비 용량이 작을 뿐 아니라, 혈액 채취량에도 법적·윤리적 제약이 존재합니다.

  • 채혈 가능량: 신생아·영아 환자의 경우, 단회 채혈량이 수십 μL~수백 μL로 제한
  • 혈중 농도 범위: 일부 효소대체요법(ERT) 약물의 경우, 최대 농도(Cmax)가 수 ng/mL 이하
  • 모니터링 필요성: 희귀 질환 치료제의 혈중 농도는 치료 반응성, 부작용 발생 위험과 직결되며, 용량 조정의 핵심 근거

기존 LC-MS/MS 기반 분석법은 일반적으로 0.2~0.5 mL/min 유량을 사용하고, 5~50 μL 이상의 injection volume이 필요합니다. 이 경우, 채취한 혈액이 20 μL 수준인 희귀 질환 환자군에는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이때 등장하는 해법이 바로 Nano-LC-MS/MS입니다.

Nano-LC-MS/MS를 활용한 극미량 희귀 질환 치료제 모니터링 플랫폼_ 소량 시료 기반 초고민감 분석법 개발과 환자군 치료 반응성 모니터링 전략
Nano-LC-MS/MS를 활용한 극미량 희귀 질환 치료제 모니터링 플랫폼_ 소량 시료 기반 초고민감 분석법 개발과 환자군 치료 반응성 모니터링 전략


2. Nano-LC-MS/MS의 기술적 특징

Nano-LC-MS/MS는 내경 50~100 μm의 컬럼을 사용하며, 유량을 수백 nL/min 수준으로 낮춰 이온화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이 방식은 소량 시료에서 분석 감도를 수십~수백 배 향상시키는 데 유리합니다.

2.1 주요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역할 특징
Nano Pump 초저유량 공급 nL/min 유량 정밀 제어, pulsation 최소화
Trap Column 시료 농축·Matrix 제거 loading 단계에서 matrix 제거, analytical column 보호
Nano Column 분리 내경 75 μm, C18 주로 사용, 길이 15~50 cm
Nano-ESI Source 이온화 electrospray 효율 극대화, 작은 액적 형성
Triple Quadrupole MS 정량 MRM 기반 분석, 극미량 농도 정량 가능
 

2.2 장점과 한계

장점

  • 감도 향상: 유량 감소 → 전하 밀집도 증가 → 이온화 효율 향상
  • 시료 절약: injection volume 1 μL 이하 가능
  • Matrix effect 완화: trap-and-elute로 불순물 사전 제거

한계

  • plumbing과 연결부 dead volume 관리가 까다로움
  • 컬럼 및 스프레이 팁 막힘 가능성
  • 장비 유지보수 및 안정성 확보 난이도 ↑

3. 소량 시료 기반 초고민감 분석법 개발

3.1 시료 채취 기술

희귀 질환 환자군에서는 채혈 부담을 줄이는 micro-sampling 기술이 필수입니다.

  1. DBS(Dried Blood Spot)
    • 10~20 μL 혈액을 여과지에 점적 후 건조
    • 장점: 운송·보관 용이, 안정성 우수
    • 단점: hematocrit 효과, 추출 효율 편차 가능
  2. VAMS(Volumetric Absorptive Microsampling)
    • 흡착 팁으로 일정 부피 혈액 채취(예: 10 μL)
    • hematocrit 영향 감소, 재현성 우수
  3. Capillary blood collection
    • 손끝·발꿈치 채혈, 20~50 μL 확보 가능
    • 현장 채혈 후 즉시 전처리 가능

3.2 시료 전처리 전략

Nano-LC-MS/MS의 초고민감 분석을 위해서는 sample loss 최소화가 핵심입니다.

  • One-tube processing: 단백질 침전 → 원심분리 → 농축 → 재용해를 하나의 튜브에서 수행
  • μElution SPE: elution volume 10 μL 이하, 농도 배율 극대화
  • Protein precipitation with additive: 비특이적 결합 억제를 위해 organic solvent에 BSA, TFA 첨가

3.3 실제 개발 사례

  • Target Drug: 효소대체요법 약물(ERT, recombinant enzyme)
  • Matrix: 20 μL plasma
  • Prep: μElution SPE + trap-and-elute Nano-LC
  • LC 조건:
    • Trap: C18, 300 μm × 5 mm
    • Analytical: 75 μm × 25 cm, 1.7 μm C18
    • Flow rate: 300 nL/min
  • MS 조건: ESI(+), MRM mode
  • 성능:
    • LLOQ: 5 pg/mL
    • Accuracy: 95~105%
    • Precision: CV ≤ 10%

4. 희귀 질환 환자군 모니터링 전략

4.1 PopPK 기반 접근

Sparse sampling 데이터를 PopPK 모델에 적용해 개별 환자의 PK 곡선을 추정
→ 최소 채혈로도 전체 노출량(AUC) 예측 가능

4.2 치료 반응성 지표

  • PK/PD 관계 분석: 농도-효과 상관성 파악
  • 생체지표 연계: 대사체, 단백질 biomarker 동시 분석
  • 치료 실패 기준 농도 설정

4.3 장기 추적

  • 치료 중·후 농도 추세 분석
  • 부작용 발생 전 농도 패턴 탐지
  • 환자 순응도 평가

5. 데이터 처리 및 통계 분석

5.1 초저농도 데이터 품질 관리

  • 신호 대 잡음비(S/N) ≥ 10 확보
  • LLOQ 검증: 6회 반복 분석 CV ≤ 20%
  • blank carry-over 최소화

5.2 PopPK 모델링

  • NONMEM, Monolix 활용
  • 공변량 분석: 나이, 체중, 유전자형, 병용약물

5.3 치료 예측 모델

  • 머신러닝 기반 예측: 농도-반응 빅데이터로 dose recommendation
  • AI 모델 학습 시, 극미량 noise 제거 전처리 필수

6. 국내외 적용 사례

유럽

  • Pompe disease ERT → DBS + Nano-LC-MS/MS 적용
  • 월 1회 모니터링, 농도 기반 개별 용량 조정

미국

  • Hunter syndrome 치료제 TDM
  • PopPK + AI dose calculator 운영

국내

  • Fabry disease 소아 환자
  • 20 μL 혈장 분석법 개발, 국내 첫 ultra-trace TDM 성공

7. 향후 발전 방향

  1. Lab-on-a-chip + Nano-LC-MS/MS
    • 시료 채취~분석 일체형 플랫폼
  2. Multi-omics TDM
    • 약물 농도 + 대사체 + 단백질 지표 동시 분석
  3. AI 기반 실시간 용량 조정
    • 환자 데이터 클라우드 통합, 자동 알고리즘 용량 추천

8. 결론

Nano-LC-MS/MS는 희귀 질환 환자의 극미량 시료에서도 고정밀·고감도 TDM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시료 채취 부담을 줄이면서도, 환자 맞춤형 치료를 위한 농도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며, 향후 AI·multi-omics 융합을 통해 차세대 치료 모니터링 플랫폼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