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1. 서론: 진단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와 LC-MS/MS의 부상

최근 체외진단(in vitro diagnostics, IVD) 시장은 과거의 단순한 면역진단(immunoassay) 중심에서 벗어나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 시대에 걸맞은 분자 수준의 정량 진단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LC-MS/MS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기술이 있다.

이전까지 LC-MS/MS는 주로 신약개발이나 약물 모니터링(TDM) 등 연구 중심 영역에서 활용되었지만, 최근 5년간은 임상 진단용 분석 플랫폼으로의 확장세가 눈에 띄게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LC-MS/MS 기반 체외진단 시약이 CE-IVD 또는 FDA 510(k) 승인을 받으며 상용화되고 있고, 한국 역시 식약처(KMFDS)에서 임상적 유효성을 인정받은 사례가 늘고 있다.

2. LC-MS/MS 기반 IVD의 핵심 강점

LC-MS/MS는 전통적인 면역검사법(immunoassay) 대비 다음과 같은 결정적 장점을 가진다.

  1. 높은 분석 특이성: 항체 기반 진단에서 흔히 발생하는 교차반응(cross-reactivity)을 회피.
  2. 동시 다성분 분석(Multiplexing): 단일 분석에서 여러 바이오마커를 동시에 정량 가능.
  3. 내재적 표준물질(IS, internal standard)을 통한 정확한 보정: matrix effect나 sample variability 보정에 탁월.
  4. 광범위한 적용성: 호르몬, 비타민, 약물, 대사체, 단백질 등 다양한 생체분자에 적용 가능.

이러한 특성 덕분에 LC-MS/MS는 특히 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 내분비 질환 진단, 신경전달물질 분석, 신생아 대사이상(NBS) 패널 검사 등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3. IVD 시약 개발 단계: 연구용(RUO)에서 임상용(IVD)으로

LC-MS/MS 기반 IVD 개발은 단순히 분석법 개발 수준을 넘어, 임상적 유효성(clinical validity)과 재현성(reproducibility)을 입증해야 한다. 일반적인 개발 흐름은 다음과 같다.

 

개발 단계 주요 목표 필요 검증 항목
1. 연구용(RUO) method 개발 분석 감도, 선택성 확보 LLOQ, LOQ,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2. IVD candidate selection target biomarker 임상 적합성 평가 clinical correlation, biomarker cut-off 설정
3. 시약화(kit formulation) 안정성, 장기 보존성 확보 shelf-life, stability, robustness
4. 임상 검증(Clinical validation) 환자군/대조군 비교 sensitivity, specificity, ROC analysis
5. 규제 인증(CE-IVD / FDA 510(k)) 품질관리(QA/QMS) 충족 ISO 13485, CLSI guideline, GMP 적용

특히 LC-MS/MS 기반 진단 시약은 분석 장비와 소프트웨어, 시료 전처리 키트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system-based validation”이 필수적이다.

4. CE-IVD 인증 절차 (유럽 기준)

CE-IVD 인증은 EU의 IVDR (In Vitro Diagnostic Regulation, 2017/746)에 따라 수행된다.
기존의 MDD(Directive)에서 Regulation 체계로 전환되면서, 평가 기준은 훨씬 강화되었다.

주요 절차:

  1. 기술문서(Technical Documentation): 제품의 intended use, 분석 성능, 안정성, 위험평가 포함.
  2. 성능평가(Performance Evaluation):
    • Analytical performance (정확도, 정밀도 등)
    • Clinical performance (임상적 민감도/특이도)
    • Scientific validity (문헌 근거)
  3. Notified Body 심사: 고위험군(Class C, D)에 해당할 경우 제3자 인증기관 검토 필요.
  4. CE 마킹 부여: 승인 후 유럽 내 시장 출시 가능.

LC-MS/MS 기반 제품은 일반적으로 Class C에 해당하며, 이는 의료적 결정을 직접 지원하는 진단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5. FDA 510(k) 승인 절차 (미국 기준)

미국에서는 LC-MS/MS 기반 IVD 제품 대부분이 510(k) clearance 절차를 거친다.
이는 기존에 “동등한(predicated)” 제품이 있는 경우, 그 성능과 안전성이 유사함을 입증하는 방식이다.

승인 절차 요약:

  1. Predicate device 지정 – 유사 제품의 성능 지표를 기준으로 설정.
  2. Analytical validation – linearity, accuracy, reproducibility, LOD/LOQ, carry-over 등 평가.
  3. Clinical validation – 임상 샘플 기반의 sensitivity/specificity 평가.
  4. Software validation – 데이터 해석 알고리즘, peak integration, report system 검증.
  5. Quality System Regulation (QSR) audit – 제조시설 품질관리 평가.

대표적인 승인 사례로는 Waters, Thermo Fisher, Sciex 등의 LC-MS/MS 기반 Vitamin D, Testosterone, Tacrolimus 분석 키트가 있다.

6. 주요 글로벌 사례

 

회사 제품명 승인/인증 분석 타깃
Thermo Fisher Cascadion SM Clinical Analyzer CE-IVD, FDA 510(k) 25-OH Vitamin D, Testosterone, Immunosuppressant
Waters Corporation MassTrak Immunosuppressant Kit CE-IVD Tacrolimus, Cyclosporine A
Sciex Topaz System CE-IVD Hormone, TDM panel
Agilent Technologies Pathrometric Kit (RUO → IVD transition) 진행 중 Steroid hormones, Vitamin panel

특히 Thermo Fisher의 Cascadion SM은 완전 자동화된 LC-MS/MS 기반 체외진단 장비로, 분석–세척–결과 보고까지 전 과정이 자동화되어 있어 임상검사실에서도 사용 가능한 첫 LC-MS/MS 기반 진단 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다.

7. 국내 제약·진단기업의 진입 전략

국내에서도 한미약품, GC녹십자, SD바이오센서, 씨젠, 코미팜 등은 LC-MS/MS 기반 진단 사업 확장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정밀의료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 “진단+치료” 융합 전략이 주목된다.

예를 들어,

  • 한미약품은 자회사 한미사이언스를 중심으로 multi-omics 기반 진단 기술 확보에 투자 중이며, 향후 LC-MS/MS 기반 대사체 진단 플랫폼으로 확장 가능성이 크다.
  • GC녹십자는 대사체 기반 희귀질환 진단 패널을 LC-MS/MS와 연계한 CE-IVD 인증을 추진 중이다.
  • SD바이오센서는 기존 면역진단 기술에 LC-MS/MS 정량 모듈을 결합한 hybrid IVD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8. 기술적 과제와 자동화 솔루션

LC-MS/MS 기반 IVD 상용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은 복잡한 전처리 과정전문 인력 의존성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자동화 솔루션이 빠르게 등장하고 있다.

  1. 자동 시료 전처리 로봇 (Automated Sample Prep)
    • SPE (Solid Phase Extraction) 자동화
    • Protein precipitation 및 internal standard 자동 첨가
  2. Closed-system LC-MS/MS 플랫폼
    • Cascadion SM (Thermo Fisher)
    • Topaz (Sciex)
  3. AI-driven data processing
    • Peak deconvolution, signal-to-noise optimization
    • 결과 해석의 일관성 확보

이러한 자동화와 AI 기반 분석은 체외진단의 표준화(standardization)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9. 규제 인증을 위한 Validation 설계 전략

① Analytical Validation

  • 정확도(accuracy), 정밀도(precision), 선형성(linearity), 감도(LOD/LOQ)
  • 매트릭스 효과(Matrix effect)recovery 평가
  • CLSI EP05, EP06, EP07, EP17 guideline에 기반하여 수행

② Clinical Validation

  • 실제 환자 샘플(n ≥ 100)을 활용한 임상적 상관성 평가
  • AUC, sensitivity, specificity 계산
  • 임상 cut-off 값 설정 (ROC curve 기반)

③ Stability & Robustness

  • 2~8°C, 25°C, 37°C 등 조건에서의 시약 안정성
  • 재현성(reproducibility) 및 batch 간 변동(inter-lot variation) 평가

10. IVD용 소프트웨어와 사이버보안 요건

LC-MS/MS 기반 IVD 제품은 단순한 장비가 아닌 “소프트웨어 내장형 의료기기(Software in a Medical Device, SiMD)”로 간주된다.
이에 따라 FDA와 CE 모두 cybersecurity, data integrity, audit trail을 필수 요건으로 제시한다.

  • FDA guidance (2023 update): AI/ML 기반 해석 알고리즘 포함 시 “transparent model documentation” 요구.
  • EU IVDR: 데이터 추적성(traceability)과 사용자 접근 제어(log control) 필수.

11. 향후 전망 – LC-MS/MS IVD의 표준화와 시장 확대

글로벌 진단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7%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중 LC-MS/MS 기반 체외진단은 가장 빠른 성장 부문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다음 3가지 트렌드가 주목된다.

  1. TDM용 LC-MS/MS 시약 표준화
    – 항암제, 면역억제제, 항경련제 등
  2. 대사체 기반 질환 조기진단 키트
    – 알츠하이머, 대사증후군, 비알코올성 지방간(NASH)
  3. Biologics 대응 진단법 개발
    – ADC, mAb, peptide drug 등 신약군 확대

12. 결론

LC-MS/MS는 단순한 연구 도구를 넘어, 이제는 정밀의료를 실현하는 임상 진단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CE-IVD, FDA 510(k) 등의 인증 절차는 까다롭지만, 이를 통과한 제품은 높은 신뢰도와 재현성을 확보함으로써 진단 패러다임을 바꿀 잠재력을 지닌다.

앞으로 국내 제약사들도 단순한 약물개발을 넘어, LC-MS/MS 기반 체외진단 시약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진단-치료 통합형 플랫폼”으로 진화해야 할 시점이다.
이는 단지 기술의 발전이 아니라, 환자 중심의 의료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제약산업의 패러다임이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LC-MS/MS 기반 체외진단(IVD) 시약 개발과 규제 인증(CE-IVD, FDA 510(k))
LC-MS/MS 기반 체외진단(IVD) 시약 개발과 규제 인증(CE-IVD, FDA 510(k))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