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MS/MS 기반 정밀 분석이 이끄는 차세대 바이오 신약 개발 패러다임1. 서론: 바이오의약품의 복잡성, 그리고 ‘분석’의 시대바이오의약품은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니다. 항체의약품(mAb), 항체약물접합체(ADC), 세포치료제, 단백질 기반 치료제 등이 신약 개발의 중심으로 떠오르면서, 이들의 ‘대사체 분석(metabolite analysis)’은 단순한 QC 절차를 넘어 약물의 생체 내 운명과 효능, 안전성을 결정짓는 핵심 연구 영역으로 부상했다.특히 항체약물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는 정밀 표적치료의 대표적인 기술로,항체의 표적 특이성과 세포독성 약물(payload)의 강력한 효능을 결합시킨 구조를 갖는다.그러나 이러한 하이브리드 구조는 개발자 입장에서 새로운..
1. 배경: MDSC의 면역억제 기전과 대사 가설1.1 MDSC 개요MDSC는 골수 유래 이형성 세포군으로, 호중구형(Granulocytic/PMN-MDSC)과 단핵구형(Monocytic/M-MDSC)으로 분류됩니다.암환자·염증 모델에서 빈번히 증가하며, T 세포와 NK 세포 기능 억제, Treg 유도, 항원제시세포 기능 저해 등을 통해 면역 감시를 회피하게 합니다.1.2 알려진 면역억제 기전(대사적 관점)아르기닌 분해 (Arginase-1, ARG1): 아르기닌 고갈 → T 세포의 CD3ζ 발현 저하 및 증식 억제.질소산화물(NO) 생산 (iNOS): NO 및 peroxynitrite 생성 → TCR 신호 손상, 단백질 니트로실화.트립토판 대사 (IDO/TDO 경로 → Kynurenine): Kyn 축..
1. 서론: Biologics와 ADC의 부상바이오의약품은 지난 20년간 제약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어왔다. 특히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는 항체의 표적 특이성과 저분자 세포독성 약물의 강력한 효력을 결합한 차세대 항암 치료제로 각광받고 있다. 단순 항체치료제(monoclonal antibody)와 달리, ADC는 항체에 payload(세포독성 화합물)를 링커(linker)를 통해 공유결합으로 연결한 구조를 가진다. 이로써, 표적 세포에 항체가 결합하면 리소좀 내에서 ADC가 분해되며 payload가 방출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한다.그러나 이러한 구조적 복잡성은 분석학적 과제(analytical challenge)를 야기한다. 즉, 항체, 링커, payload가 모두..
- Total
- Today
- Yesterday
- lc-ms/ms
- 디지털헬스케어
- 합성생물학
- 제약산업
- 팬데믹
- 정량분석
- 대사체 분석
- Drug Repositioning
- 세포치료제
- 바이오의약품
- 약물 반응 예측
- 공급망
- 치료제
- 항암제
- 정밀의료
- metabolomics
- 바이오마커
- 대사체분석
- 면역항암제
- 유전체분석
- 머신러닝
- 임상시험
- 신약개발
- Multi-omics
- 약물분석
- AI
- 미래산업
- 제약
- 약물개발
- Targeted Metabolomics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