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장내 대사체가 약물 독성에 미치는 영향

Microbiome–metabolite 기반 약물 상호작용 분석
Microbiome–metabolite 기반 약물 상호작용 분석

 


서론: 제약 연구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Microbiome-metabolite Axis”

신약 개발이나 임상 시험을 진행하다 보면, 동일한 약물을 동일한 용량으로 투여했는데도 환자별로 전혀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환자는 안정적인 치료 반응을 보이는 반면, 또 다른 환자에서는 예기치 못한 약물 독성(adverse drug reaction, ADR)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변이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이 바로 장내 미생물(microbiome)과 그 대사산물(metabolite)입니다.

사람의 장에는 수십조 개의 세균이 공생하고 있으며, 이들은 약물의 대사 경로를 우회하거나 강화하고, 동시에 숙주 대사체 풀(metabolite pool)을 변화시켜 약물의 안전성과 독성 발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short-chain fatty acids(SCFAs), bile acids, indole derivatives, polyamine 등은 대표적인 microbiome-derived metabolites로, 간의 약물 대사 효소(CYP450 계열)나 transporter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microbiome–metabolite–drug interaction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약물 독성 평가에 어떤 함의를 갖는지, 실제 LC-MS/MS 기반 분석 전략과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상세히 다루어 보겠습니다.


1. 장내 미생물과 약물 독성: 왜 중요한가?

1-1. 전통적 독성 평가의 한계

  • 기존 독성 평가: 간 대사체 profiling, 혈중 약물 농도 분석
  • 한계: 동일한 PK/PD 조건에서도 개별 환자의 독성 차이를 설명하지 못함

1-2. Microbiome의 새로운 역할

  • Drug metabolism: 특정 약물을 직접 대사 (예: Digoxin → inactive 형태)
  • Xenobiotic transformation: 장내 효소(β-glucuronidase 등)에 의해 독성 대사산물 축적
  • Host metabolism modulation: bile acid, SCFA 변화 → 간 CYP 발현 조절 → 약물 대사 속도 변화

1-3. 실제 독성 발현 메커니즘

  • 항암제 irinotecan: 장내 β-glucuronidase가 활성 대사체(SN-38)를 재활성화 → 장 독성 발생
  • Acetaminophen: 장내 microbiome이 sulfur metabolite flux 조절 → 간 손상 위험성 변동

2. 장내 대사체와 약물 독성: 주요 분자 축(metabolite axis)

2-1.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 acetate, propionate, butyrate
  • 간에서 CYP3A4, CYP2C9 같은 주요 대사 효소 발현 조절
  • 약물 대사 속도 ↑/↓ → 독성 위험성 변화

2-2. Bile acids

  • primary bile acid (CA, CDCA) → microbiome 전환 → secondary bile acid (DCA, LCA)
  • FXR, PXR, CAR 같은 핵 수용체를 통해 drug transporter (MDR1, OATP) 조절
  • 항암제, 항생제 독성에 영향

2-3. Indole derivatives

  • tryptophan → indole, indole-3-propionic acid
  • AhR(aryl hydrocarbon receptor) 경로 활성화 → 간/신장 독성 경로 조절

2-4. Polyamines (spermidine, spermine)

  • 고농도 축적 시 세포 스트레스 반응 유도 → 항암제 부작용 악화

3. LC-MS/MS 기반 Microbiome-metabolite Profiling 전략

장내 대사체의 정량은 대부분 LC-MS/MS 기반 targeted metabolomics로 수행됩니다.

3-1. Workflow

  1. 시료 종류: 혈장, 소변, 대변 추출물
  2. Sample prep: protein precipitation, SPE(solid-phase extraction)
  3. Chromatography: HILIC (polar metabolites), reversed-phase LC (lipid metabolites)
  4. MS/MS detection: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기반 정량
  5. 데이터 해석: 약물 농도–대사체 농도–독성 지표 간 correlation 분석

3-2. 예시 Panel

  • SCFAs: acetate, propionate, butyrate
  • Bile acids: CA, CDCA, DCA, LCA
  • Amino acid derivatives: kynurenine, indole-3-propionic acid
  • Xenobiotics: drug-specific metabolites

3-3. 실무 팁

  • SCFA는 derivatization 필요
  • Bile acid 분석 시 isomer 분리가 중요 → LC gradient 최적화
  • Internal standard로 stable isotope-labeled metabolite 필수

4. 실제 사례

4-1. 항암제 독성과 Microbiome

  • Irinotecan 사례:
    • SN-38-glucuronide → β-glucuronidase에 의해 탈글루쿠로니드화 → SN-38 재활성화
    • 결과: 장내 독성 (diarrhea) 심각
    • 해결 전략: β-glucuronidase inhibitor 병용 or microbiome 조절

4-2. Acetaminophen 간 독성

  • 일부 마우스 모델: gut microbiome이 cysteine/glycine pool 조절
  • 글루타티온 고갈에 따른 간 손상 수준이 microbiome 구성에 따라 달라짐

4-3. Immunotherapy 반응성

  • 항PD-1 치료 반응 환자: 장내 butyrate-producing bacteria↑
  • Lactate/kynurenine ratio (LC-MS/MS 정량) → 면역 관련 독성 여부 예측

5. 국내외 연구 동향

  • 국내: 일부 대학병원 연구팀이 LC-MS/MS 기반 장내 대사체 profiling으로 항암제 독성 예측 연구 착수
  • 해외:
    • MD Anderson: microbiome-derived bile acid → checkpoint inhibitor 독성 조절
    • Broad Institute: AI 기반 microbiome–metabolome–drug toxicity 예측 모델 개발

6. AI·통계 기반 데이터 통합

장내 대사체는 단독으로도 강력한 biomarker이지만,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해서는 다중 데이터 통합이 필요합니다.

  • Microbiome 16S rRNA sequencing + metabolomics + PK data 통합
  • 머신러닝 기반: Random Forest, Elastic Net → 독성 예측 signature
  • Deep learning 기반: multi-modal autoencoder → 환자별 독성 리스크 예측

7. 향후 전망

  • Precision medicine: 환자별 microbiome-metabolite profile 기반 dose adjustment
  • Drug development: 신약 개발 단계에서 microbiome-dependent toxicity screening 포함
  • Therapeutic modulation: prebiotics, probiotics,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FMT) → 약물 독성 조절 도구로 활용

결론

장내 microbiome과 그 대사체는 약물 독성 연구에서 새로운 변수이자 동시에 새로운 기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LC-MS/MS 기반 대사체 profiling은 이러한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이며, 실제 임상 적용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앞으로는 microbiome-metabolite–drug toxicity 네트워크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독성 예측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신약개발과 환자 안전성 확보의 핵심 전략이 될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