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장내 미생물 대사체와 면역반응, LC-MS/MS 기반 약물동태학(PK) 변화 규명


1. 서론: 마이크로바이옴-대사체-면역 축(Microbiome–Metabolome–Immune axis)의 등장

최근 신약 개발과 약물 반응성 연구에서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단순한 장내 공생체를 넘어 약물 반응의 핵심 조절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장내 미생물이 생성하는 대사체(metabolites)는 숙주 면역체계와 약물대사 경로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흔히 microbiome–metabolome–immune axis라고 부릅니다.

이 축을 이해하는 것은 환자별 responder vs non-responder 패턴을 설명하고, 면역항암제나 항생제와 같은 특정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여기서 LC-MS/MS는 미량의 단쇄지방산(SCFAs), 담즙산(bile acids), indole 유도체 등 장내 미생물 기원 대사체를 고정밀 정량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 데이터는 면역반응과 PK/PD 모델링을 통합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


2. Gut microbiome이 약물 반응에 미치는 다층적 영향

2.1 장내 미생물 대사체의 직접적 영향

  • SCFAs (acetate, propionate, butyrate)
    • 조절 T세포(Treg) 분화 촉진 → 항암제 반응성 개선
    • 장내 장벽(barrier) 강화 → 약물 흡수 효율 조절
  • Bile acids (1차, 2차 담즙산)
    • FXR, TGR5 수용체를 통한 면역 및 대사 조절
    • 특정 bile acid 프로파일이 checkpoint inhibitor 반응성과 연관
  • Indole derivatives (tryptophan 대사 산물)
    • AhR (Aryl hydrocarbon receptor) 활성화 → 염증 조절

2.2 약물 대사의 간접적 영향

  • 미생물 효소에 의한 약물 대사 변환
    • 예: Digoxin → inactive metabolite (Eggerthella lenta 작용)
  • 숙주 간대사(hepatic metabolism)와 상호작용
    • Microbiome-derived metabolites가 CYP450, UGT 효소 발현에 영향을 주어 PK profile 변화를 유도

2.3 면역반응 조절

  • 면역항암제(anti-PD-1, anti-CTLA-4)의 반응성 차이는 특정 장내 균주 및 그 대사체 조성에 의해 설명 가능
  • Responder 환자: SCFA와 secondary bile acid가 풍부
  • Non-responder 환자: dysbiosis + 염증성 대사체 축적

3. LC-MS/MS 기반 Microbiome-driven Metabolomics 분석

3.1 SCFA 정량 분석

  • Sample: 혈장, 소변, 대변 추출
  • LC-MS/MS (negative ESI, MRM mode) 활용 → acetate, propionate, butyrate 정량
  • Stable isotope-labeled internal standard 이용 → matrix effect 보정

3.2 담즙산 프로파일링

  • LC separation: C18 column, bile acid isomers 분리
  • MS/MS fragmentation 패턴 기반 1차 vs 2차 bile acid 구분
  • PK 모델링에서 enterohepatic circulation과 연결

3.3 Indole 유도체 분석

  • Tryptophan 대사 경로: kynurenine, indole-3-acetate, indole-3-propionate
  • LC-MS/MS 기반 다중 분석법 → immune checkpoint inhibitor 반응성과 연계

3.4 PK와의 통합

  • Microbiome-derived metabolite data → PBPK 모델에 통합
  • 약물 흡수율(ka), hepatic clearance(CL), bioavailability(F) 값에 조정 반영

4. Gut microbiome–immune axis와 약물 반응성 사례

4.1 면역항암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 Anti-PD-1 therapy
    • Responder 환자: Faecalibacterium, Akkermansia muciniphila 풍부 → butyrate, propionate 증가
    • LC-MS/MS 기반 SCFA 정량 결과: responder 환자군에서 butyrate 농도 2배 이상 상승
  • Anti-CTLA-4 therapy
    • Bile acid composition 변화와 반응성 상관관계 확인
    • Secondary bile acids (deoxycholic acid, lithocholic acid) → Treg induction

4.2 항암제 (Cyclophosphamide, Irinotecan)

  • Cyclophosphamide: gut microbiota가 면역활성 대사체 생성 → 항암효과 증폭
  • Irinotecan: β-glucuronidase-producing bacteria가 활성형 대사체 재생 → 장 독성 증가

4.3 항생제 병용 시 영향

  • 광범위 항생제 사용 → microbiome diversity 감소
  • 결과적으로 SCFA 감소, checkpoint inhibitor 반응성 저하

5. Multi-omics 통합 분석 전략

  • Metagenomics + LC-MS/MS metabolomics
    • 균주 abundance ↔ metabolite profile 매핑
    • 예: Bacteroides fragilis abundance ↔ propionate ↑
  • Immunomics + metabolomics
    • Treg/Th17 비율, cytokine profile ↔ SCFA 농도 비교
  • PK/PD 모델링 + metabolomics
    • Microbiome metabolite data를 반영해 inter-individual variability 설명

6. 임상 적용 및 전망

6.1 환자 맞춤형 치료

  • 환자 baseline microbiome-metabolite signature 분석 → responder 예측
  • Dysbiosis 교정 (probiotics, FMT, diet modulation)을 통한 반응성 개선

6.2 Companion diagnostics (CDx)

  • SCFA, bile acid, indole 유도체 프로파일을 predictive biomarker로 개발
  • LC-MS/MS 기반 혈중/대변 분석 → 임상 현장 적용 가능

6.3 신약 개발 전략

  • Gut microbiome-modulating agent (prebiotics, postbiotics)와 항암제 병용 설계
  • Microbiome-driven PK variability를 반영한 용량 최적화

7. 결론

Gut microbiome–metabolome–immune axis는 약물 반응성의 중요한 결정인자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이 생성하는 SCFAs, bile acids, indole 유도체는 면역반응 조절뿐 아니라 약물 PK/PD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은 LC-MS/MS 기반 정밀 대사체 분석으로 규명 가능합니다.

앞으로는 multi-omics 통합 분석 + AI 기반 예측 모델이 도입되어,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과 동반진단 개발에 있어 마이크로바이옴-대사체 축의 임상적 활용이 더욱 확대될 것입니다.

Gut Microbiome–Metabolome–Immune Axis 분석을 통한 약물 반응성 이해
Gut Microbiome–Metabolome–Immune Axis 분석을 통한 약물 반응성 이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