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서론 – 대사체 기반 바이오마커 검증의 필요성과 도전 과제정밀의료의 발전과 함께 ‘개인 맞춤형 치료’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환자 반응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대사체 수준에서의 변화는 질병 상태와 약물 반응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신호로 작용하기 때문에, Targeted Metabolomics 기반의 바이오마커 연구는 임상적 활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꼽힙니다.그러나 이 과정에서 가장 큰 도전은 단순한 검출(detection)이 아니라, 해당 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 변수임을 입증하고, 다양한 개체 간의 생리적 변동을 극복할 수 있도록 분석 설계를 정밀화하는 것입니다. 특히 LC-MS/MS 기반으로 수행되는 정량 분석은 매우 높은 민감도..

장내 대사체가 약물 활성도 또는 독성에 미치는 영향과 분석 workflow 정립1. 서론 – 약물 반응의 새로운 변수, 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최근 수년간, 개인의 약물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 주목받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단순한 소화보조를 넘어, 체내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 및 약물의 대사, 배설 경로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이들 미생물이 생성하는 대사산물, 즉 microbiome-derived metabolites는 약물의 흡수, 효능, 독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축적되고 있다.가장 대표적인 물질군은 Short-Chain Fatty Acids (SCFAs)로, acetate, propionate, butyrate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들 S..
- Total
- Today
- Yesterday
- 합성생물학
- lc-ms/ms
- 나노기술
- 공급망
- ADC
- 미래산업
- 세포치료제
- 분석팀
- hybrid lba-ms
- 제약산업
- 약물반응예측
- 팬데믹
- 치료제
- 디지털헬스케어
- generalizability
- 약물분석
- 신약개발
- 유전체분석
- 대사체분석
- 머신러닝
- 약물개발
- 희귀질환
- AI
- 정량분석
- 임상시험
- 정밀의료
- 제약
- Targeted Metabolomics
- 바이오의약품분석
- 헬스케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