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시료 분석은 약물 분석 실무에서 가장 많은 시간과 자원을 소모하는 단계 중 하나다. 특히 혈장, 혈청, 뇌척수액(CSF), 소변 등 다양한 생체시료에서의 약물 농도 정량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료 전처리 단계에서부터 고도의 정밀성과 재현성이 요구된다. 최근 이러한 흐름에 맞춰 전처리 공정의 자동화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LC-MS/MS와의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실험실 효율성 및 분석 품질 확보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본 글에서는 바이오시료 전처리 자동화의 구체적 전략과 이를 LC-MS/MS 시스템과 효과적으로 연계하는 방안에 대해 실무적 관점에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1. 바이오시료 전처리 자동화의 필요성
1.1 수작업 전처리의 한계
수작업 기반의 전처리는 시료간 변동성이 커지고, 오차 발생 확률이 높다. 특히 대규모 임상시험 시료를 다룰 경우, 수천 건에 달하는 시료 처리 시 오염, 혼입, 손실 등의 리스크가 존재한다. 이는 반복성(Reproducibility) 저하로 이어져, 전체 LC-MS/MS 결과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1.2 자동화가 가져오는 이점
- 정밀한 시료 용적 취급: 자동 디스펜서를 이용한 정밀한 마이크로리터 단위 이송
- 고효율 프로세스: 96/384 well 기반의 고처리량 작업 가능
- 재현성 향상: SOP 기반의 일관된 시료 처리 조건 적용
- 오염 리스크 감소: 밀폐형 시스템에서의 시료 처리로 교차 오염 예방
2. 자동화 전처리 기술의 종류와 적용 사례
2.1 단백질 침전법 자동화
가장 널리 쓰이는 전처리 방식으로, 자동화된 liquid handler에 의해 유기용매(예: acetonitrile, methanol)를 시료에 정량적으로 첨가하고, well plate 기반에서 원심분리까지 통합 처리 가능하다.
2.2 고체상 추출(SPE) 자동화
SPE cartridge나 plate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matrix 제거 및 analyte 정제를 수행. 로봇 팔과 vacuum manifold 연동을 통해 다단계 용매 세척 및 용리 단계를 자동화할 수 있다. 특히 높은 선택성과 민감도가 요구되는 생체지표 분석에 적합하다.
2.3 액-액 추출(LLE) 자동화
LLE는 상대적으로 자동화 구현이 까다로우나, 최근 오일리버스 타입이나 밀폐형 용기 기반에서 shaking 및 분리 과정을 통합한 시스템도 등장했다. 다만 재현성 확보를 위한 장비 교정이 매우 중요하다.
3. LC-MS/MS 시스템과의 연계 전략
3.1 시료 로딩 인터페이스 통합
자동화 전처리 후 시료가 LC-MS/MS 시스템으로 직접 연계되도록 설계하면, manual transfer로 인한 sample loss나 label mismatch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특히 barcoding 시스템과 함께 사용 시 tracking이 용이해진다.
3.2 사전 희석 및 재구성 조건 통합
건조된 시료의 재구성(reconstitution) 단계까지 자동화 공정에 포함시켜, LC vial로 이송되기 전 단계에서 정확한 최종 부피를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농도 정량 분석의 정밀도 향상에 필수적이다.
3.3 스루풋(throughput) 관리
고용량 자동화 시스템을 운영할 경우, LC-MS/MS의 분석 용량 대비 전처리 속도 조정이 필요하다. 시료 batch 간 간격을 조율하거나, 분석 시점별로 스케줄링된 run 계획 수립이 병행되어야 한다.
4. 실무 적용 팁과 주의사항
4.1 자동화 장비 선정 시 고려사항
- 유연성: 다양한 시료 매트릭스와 분석법에 적용 가능한지 확인
- 호환성: 기존 LC-MS/MS 시스템과 연결성
- SOP 기반 설정 가능 여부: 분석법 별로 세부 설정값 저장 및 호출 가능 여부
4.2 벤치마킹 가능한 자동화 사례
- 다국적 제약사의 Phase 1 PK study: 384-well 기반 SPE 자동화와 LC-MS/MS 일체형 운용
- 대학병원 연구기관: 혈청 내 바이오마커 스크리닝을 위한 PPT 자동화 기반 고처리량 분석라인 운영
4.3 자동화 도입 후 검증 절차
- Carryover 평가: 자동화 과정 중 잔류물 여부 확인
- 정확도/정밀도 재평가: 기존 수작업 대비 method validation 재수행 필요
- 동일 시료의 반복 분석 비교: 수동 vs 자동 전처리 결과 비교 분석
5. 결론 및 향후 전망
바이오시료 전처리 자동화는 단순한 시간 절약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분석 정확성과 재현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수준의 GxP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다. LC-MS/MS와의 유기적 연계가 가능할 때, 분석 효율성은 비약적으로 상승하며, 분석실 전체의 품질 관리 수준 또한 한층 강화된다.
향후에는 인공지능 기반의 전처리 프로토콜 최적화, 로봇 기반의 완전 무인화 공정, 실시간 QC 모니터링 기능 등의 도입이 예상되며, 이는 바이오시료 분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예고하고 있다.
연구 현장에서 직접 체감한 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은 단순한 ‘도구’가 아닌, 분석 환경의 ‘구조 자체’를 바꾸는 전환점이었습니다. 분석 품질과 속도, 모두를 잡고자 하는 실무자에게 자동화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전략’입니다.
'제약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효성분 및 대사체 동시 분석 전략 – LC-MS/MS 기반 복합 분석법 개발 (0) | 2025.07.07 |
---|---|
Incurred Sample Reanalysis (ISR) 평가 기준과 실무 적용 (0) | 2025.07.06 |
OECD GLP 기준에 따른 분석실 구축과 문서화 요건 (0) | 2025.07.05 |
희귀질환 치료제의 약물 분석법 특수 설계 사례 – 초저농도 약물 분석 및 통계 처리 (0) | 2025.07.04 |
약물 분석 데이터 품질관리(QC) 기준과 사례 – Calibration curve와 QC 시료 처리 전략 (0) | 2025.07.03 |
High-throughput screening (HTS) 분석법 개발과 검증 – 신약 스크리닝과 병행한 분석 설계 (0) | 2025.07.02 |
바이오의약품 분석에서의 분석법 특수 고려사항: 항체, 단백질 의약품 정량 전략 (0) | 2025.07.01 |
노인 환자 대상 Polypharmacy 상황에서의 약물농도 모니터링 전략: 실무 중심 분석 (0) | 2025.06.30 |